에너지전환이 석유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 분석(하)

최근 석유업계는 에너지전환 이슈를 ‘적응할 것이냐, 사멸할 것이냐는 전망 (adapt or die outlook)’이라 표현할 만큼 심각히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따라 메이저는 탄소저감목표를 더욱 강화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포함한 새로운 탈탄소화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글로벌 메이저가 에너지전환 시대를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에너지전환 대응전략 수립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본다. 먼저 메이저가 최근 발표한 탄소저감목표를 살펴보고, 전문기관은 이러한 전략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또한 탄소저감목표 달성을 위한 메이저의 신재생에너지 투자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에너지전환 대응전략에는 어떤 특징과 공통점들이 있는지 탐색해본다.

메이저의 중·장기 탈탄소화전략

글로벌 메이저의 탄소저감목표 분석

석유기업들이 평가하는 에너지전환에 대한 전망과 신재생에너지의 가치는 각각 다르며 기업을 둘러싼 여러 환경 또한 달라, 석유기업들은 각기 다른 수준의 목표를 수립하고 이행을 노력해왔다. [표 1]과 같이 최근 발표한 메이저의 탄소저감목표 에서도 이러한 특징은 잘 나타나 있다.

유럽계 메이저는 급변하고 있다. 3년 전만 해도 석유기업이 생산·공급하는 에너지원의 탄소강도감축을 위해 목표를 설정한 기업은 없었다. 그러나 2020년 5월을 기준으로 BP, Shell, Total, Eni, Repsol사는 모두 이러한 목표를 설정했다. 여기에 최근 6개월 동안 2050년까지‘순제로’ 달성을 위한 장기목표를 수립했고, 이전 목표대비 탄소강도를 현저히 줄이겠다고 약속하며 기후변화 대응노력을 더욱 강화했다.
Chevron, ExxonMobil사와 같은 미국계 메이저 또한 그 속도는 느리지만 신재생 에너지투자 및 탄소저감전략을 수용하기 시작했다. 최근 일부 투자자들은 ExxonMobil사의 기후변화 대응이 뒤처지고 있다는 이유로 CEO 교체와 로비활동 공개를 요구하는 등 이해당사자들의 에너지전환 요구가 점점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의 노력은 유럽계 메이저에 크게 뒤지고 있다고 평가된다. 일부 북미 기업들 사이에서는 개선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단기적 목표만 수립 하고 있으며, 목표의 강도 또한 유럽 메이저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유럽과-미국-메이저-탄소저감-목표

[표 1]에서 Scope 1, 2, 3은 상기 기업이 줄이고자 하는 온실가스의 배출원으로 [표 2]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온실가스-배출원-분류

전문기관은 이러한 목표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기후변화와 저탄소경제에 대한 기업의 대비태세를 평가하는 국제기구인 TPI(Transition Pathway Initiative)는 유럽계 메이저가 최근 발표한 탄소저감목표의 평가와 ‘순제로’ 목표 달성을 위해 이들이‘어디까지 왔는지, 어디까지 가야 하는지’를 분석했다.

유럽계-메이저-2050-탄소강도-달성목표

TPI의 평가는 ‘파리협정’에서 제시된 3가지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한다. [그림 1] 에서 ‘Paris Pledges’는 파리협약 목표달성을 위해 국가별로 제출된‘국가자발적 기여(NDC)5)’에 기준한 저감목표를 나타내며 가장 낮은 목표이다. 그 다음으로 ‘2 Degrees’는 파리협약의 2°C 시나리오, ‘Below 2 Degrees’는 파리협약 1.5°C 시나리오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메이저는 ‘Paris Pledges’목표보다는 높은 목표치를 설정함으로써, 현재 제출된 NDC기준보다는 높은 수준의 탄소저감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한편 기업에서 소비한 에너지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탄소강도로 표현하는데, TPI의 탄소강도 환산공식은 다음과 같다.

탄소강도-환산공식

공식에서 Cat.11(Category 11)은 Scope 3 배출원 중 ‘고객들에게 판매된 생산품의 이용으로 발생하는 배출량’을 의미하며, ‘탄소흡수원(Natural sinks)’이란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입목, 대나무, 고사유기물, 토양 등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를 말한다.6) ‘CO2e’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단위이며, ‘TJ(테라줄)’은 에너지단위로 1TJ는 1012 J이며 23.88TOE(석유환산톤)이다.

TPI는 5개사 모두 지난 6개월간 목표치를 상당히 강화했으며, 목표치를 2050년 까지 연장함에 따라 점점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목표를 세우고 있다는 종합적인 평가를 내렸다. BP와 Eni사는 이전 계획을 크게 개선하여 Scope 3 배출량을 감축 목표에 포함시켰다. Repsol과 Total사는 ‘Paris Pledges’ 시나리오에 부합하지 않았던 이전 목표를 개선하여 해당 시나리오에 부합하는 새로운 목표를 발표했다. Eni사는 탄소강도 55% 감축 및 Scope 3을 포함한 절대배출량 80% 감축을 목표로 설정했는데, 동사는 순배출량이나 탄소강도가 아닌 절대배출량 감소치를 설정한 유일한 회사였다. 또한 탄소저감계획에도 ‘탄소배출권 매입을 통한 상쇄 예상 기여도(the expected contribution of offsets)’에 대한 공시가 포함되어 있는 만큼 가장 종합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Shell사는 2050년 배출강도 감축 목표를 이전 50%에서 65%로 강화하며, ‘2 Degrees’ 시나리오와 거의 일치하는 목표를 발표했다. 이는 현재 유럽 메이저 중 가장 높은 수준의 목표이다.

TPI는 석유기업이 2050년까지 ‘순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해당사자 들의 참여와 협력을 통한 Scope 3 배출감소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순제로’를 향한 현재의 모멘텀이 지속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Shell과 Total사가 최근 발표한 계획에는 이러한 점이 잘 반영되어 있다. Shell사는 2050년까지 생산품의 탄소 배출량 65%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나아가 나머지 35%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업, 정부 및 기타 이해당사자들과 협력하여 Scope 3에 해당하는 ‘고객들의 탄소저감’을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2050년까지 순제로 배출에 도달할 수 있는 사업 및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향후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등을 통해 감축목표를 계속 강화할 계획이라 밝혔다.

유럽계-메이저-탄소강도-감축-중간목표

그러나 최근 강화된 목표에도 불구하고, 아직 어느 회사도 ‘순제로’ 또는 1.5°C 목표와 부합하는 계획을 발표한 회사는 없었다. [그림 2]에서 ‘1.5°C 시나리오’ 달성을 위한 메이저의 평균 탄소강도 감소율은 약 2tCO2e/TJ/year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유럽계 메이저가 2050년까지 계획한 평균 탄소강도 감소율은 1.1tCO2e/TJ/ year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수준의 목표를 설정한 Shell사도 ‘1.5°C’는 커녕 ‘2°C 시나리오’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이러한 평가에 BP, Repsol, Shell, Total사는 2020년 내에 기후변화 대처 노력을 추가적으로 업데이트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
그렇다면 상기 목표들의 문제점과 향후 보완점은 무엇일까? TPI는 배출저감계획은 ‘제3자로부터 취득한 에너지 제품’을 포함하여, 판매되는 모든 에너지제품에 적용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으로 Repsol과 BP사의 현재 감축계획에는 ‘3자로 부터 취득한 에너지원의 판매’부문이 포함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목표수준 또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BP는 2050년까지 Scope 3을 포함한 판매제품의 배출 강도를 50%까지 낮추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는데, 이는 동사의 기존 목표가 2025년 까지였고 Scope 3 배출량도 제외했었다는 점에서 상당한 발전이다. 그러나 2050년 까지 ‘마케팅 판매’부문의 탄소강도를 50%까지 낮추겠다는 계획에서 해당부문의 가장 큰 비중7)을 차지하는 ‘트레이딩 및 공급’부문과 ‘원유판매’부문을 제외 했다. 그러므로 BP사의 목표는 Shell, Total, Eni사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며, 모든 시나리오에 부합하지 못하고 ‘순제로’와는 거리가 멀다고 평가됐다.
가장 높은 수준의 목표를 수립한 Shell사의 목표에도 문제점은 있었다. Shell사는 ‘순제로 경로에 부합하지 않는 에너지는 고객에게 판매하지 않는다.’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TPI는 동사가 항공, 해운, 대형 화물운송 등 탈탄소화가 어려운 분야에서 공급망(supply chain)을 변화하겠다고 밝힌 것은 혁신적이지만, 이를 위한 구체적인 세부 달성계획이 없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한 Eni사를 제외한 모든 메이저가 탄소강도 및 순배출량 감소치만을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석유기업들이 석유·가스 생산을 줄이지 않고 저탄소 에너지원 생산만 늘리면서 배출감소목표를 달성하는 위험한 전략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고 지적하며, 그러한 전략으로는 ‘1.5°C목표’에 도달할 수 없을 것이라 강조했다.
감축계획과 관련한 세부정보의 부재는 다른 부분에서도 나타났다. TPI는 Repsol과 BP사의 경우 탈탄소화 진행 상황을 추적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저탄소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에너지에 대한 공시가 필요하며, Scope 3 범위도 더욱 확장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Shell, Total사 또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의한 배출량 감소분에 대한 정보공개가 부족하며, 장기계획에도 반영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부분의 메이저들이 ‘탄소배출권’ 구입 및 CCS를 통한 배출량 상쇄분에 대한 정보공개도 부족한 실정이라 강조했다. CCS 기술은 아직 규모 측면 에서 검증되지 않은 기술인만큼 배출량 감축을 CCS에만 의존하는 전략은 신재생 에너지로의 사업다각화로 추진되는 탈탄소화전략보다 위험하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이렇듯, TPI는 유럽 메이저들이 새롭게 설정한 배출저감목표가 현재 많은 국가 들이 도입하고 있는 순제로 목표치에 부합한다는 주장은 과장된 것이며, 1.5°C는 커녕 2°C 시나리오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서라도 더욱 강화된 탈탄소화전략이 필요 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유럽 이외 메이저들의 탄소저감목표는 어떨까? 2019년 TPI가 평가한 유럽 외 지역의 42개 석유기업 중 Scope 3을 포함한 배출저감목표를 설정한 기업은 Petrobras사 한곳에 불과했고, ‘Paris Pledges’ 시나리오에 부합하는 업체는 단 한곳도 없었다. 때문에 현재 이들의 목표는 유럽 메이저에 비해 격차가 크다고 평가되며, 유럽 이외의 석유회사들도 Scope 3과 관련한 배출저감목표를 설정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거버넌스 및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탄소저감목표 달성을 위한 메이저의 사업다각화전략 및 사례

아래에서는 [표 3]과 같이 주요 메이저가 최근 발표한 탄소저감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계획들을 포함하여, 주요 메이저(BP, Shell, Total, Chevron, ExxonMobil)의 저탄소 및 신재생에너지로의 사업다각화전략 및 사례를 검토하였다.

주요-메이저-발표-탄소절감-계획

주요 메이저 회사 알아보기

BP

BP사는 신재생에너지시장이 충분히 성숙되지 않은 2000년대 선제적 투자 (premature bets)로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보는 등 사업다각화에 있어 다소 신중한 접근방식을 취하는 기업 중 하나이다. 동사는 1980~2010년까지 태양광발전 부품 제조, 태양광·풍력 프로젝트개발 등 신재생에너지에 상당한 자본을 투입한 최초의 메이저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BP가 수행했던 신재생에너지사업의 대부 분이 실패로 돌아갔고, 2010년 Deep Water Horizon 원유 유출사고를 기점으로 2011년 태양광사업을 매각, 2013년 풍력사업을 시장에 내놓으며 경제성이 낮은 신재생에너지부문에서 철수했다.
BP사는 현재까지 U$80~100억 규모의 투자를 대부분 실패했음에도, 여전히 미국의 풍력자산, 브라질의 바이오연료 사업8), 그리고 Chevron, Petrobras, Suncor 사와 함께 설립한 CCS 합작법인을 소유하며 저탄소 미래를 지속적으로 준비해나가고 있다. BP는 이전의 실패로 인해 현재 포트폴리오에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은 낮은 편이나, 미국에서만 2,200 MW 이상 규모의 풍력 발전량을 보유해, 신재생에너지 공급량 자체는 메이저들 중에서 가장 많다. 여기에 2017년 유럽 최대 태양광발전사인 Lightsource사의 지분 43%를 U$2억에 인수하며 2011년 기존 태양광사업 철수 이후 태양광사업의 재진입을 선포했으며, 작년 동사의 지분을 50%로 확대했다.
또한 BP는 향후 전기차 보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전기차 충전 관련 시설에 대한 투자와 기업 인수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8년에만 세 번의 투자를 했는데, 먼저 2017년 Shell사로부터 유럽 최대 전기차 충전업체인 NewMotion사 인수에 이어 이스라엘의 급속충전 배터리 개발사인 StoreDot사에 U$2,000만을 투자했다. 두 번째로,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인프라를 개발하는 미국의 FreeWire사에 U$500만을 투자했다. 마지막으로, 영국 충전 포인트 네트워크 선도기업인 Chargemaster사를 약 U$1억6천만에 인수하여 Chargemaster 사의 6,500개의 충전 포인트 네트워크와 자사가 보유한 1,200개 주유소를 결합하는 등 수송연료로서 석유의 지배력에 도전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한편 BP는 올해 3월 호주 Santos의 Moomba 가스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약 1,700만톤을 포집‧저장하는 프로젝트에 U$1,320만 투자를 검토 중이라 밝히며 CCS사업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동사는 2006년 ‘BP Ventures’ 라는 벤처 캐피털사를 설립하여 상·하류부문 및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한 40개 이상의 신기술 기업들에게 현재까지 U$3억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인공지능(AI)기반의 건물 에너지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중국 벤처기업 R&B 사에 U$360만을 투자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BP사는 상류사업의 중점분야를 석유에서 가스로 전환하고 있는데, 전체 화석에너지 생산량 중 가스의 비율을 2017년 약 50%에서 2020년 60%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며, 향후 2021년까지 생산을 시작하는 프로젝트의 75%가 가스 프로젝트이다.

Shell

Shell사는 향후 유가 및 에너지전환 측면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이미 탄력적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한 전략적 틀을 구축했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상기 TPI의 평가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만큼 탈탄소 시대에 대비한 사업전략이 잘 짜여 있는 기업으로 평가된다. 동사는 2016년 5월 다각화전략의 일환으로 수소, 전기차 충전, 바이오연료, 신재생에너지부문을 결합해 ‘신에너지(New Energies)’부서를 발족했다.
최근 동사의 CEO는 투자자들에게 Shell은 더 이상 ‘석유·가스회사’가 아니라 ‘에너지전환회사(energy transition company)’라고 선언했다. 이에 따라 신재생 및 저탄소부문에 대한 자본배분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2016년에는 연간 U$2억의 투자계획을 발표한데 반해, 2017년 3월 연간 최대 U$10억 투자로 계획을 수정했고, 2017년 12월에는 연간 U$10~20억으로 다시 상향 조정했다. Shell사는 투자금 중 약 80%를 전력부문에 투입할 계획으로, 2017년 영국의 전기·가스 공급사인 First Utility사와 NewMotion사를 인수하며 소비자 전력시장에 진출했다. 여기에 2018년 6월 텍사스주의 전력사인 MP2사 인수 계약을 계기로 전력산업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올해 2월에도 Shell사는 ‘에너지 접근성’은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도전과제이자 기회라 강조하며, 배터리와 발전기관련 해결 책이 결합된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s)9)기술 솔루션 개발계획을 발표한 만큼 전력부문으로의 사업다각화는 계속될 전망이다.
여기에 Shell은 2019년 11월 프랑스 신재생에너지 개발업체인 Eolfi사와 인수 계약 체결 및 올해 2월, 호주 퀸즐랜드에 약 40만개의 태양광 패널을 갖춘 120MW 규모의 산업용 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를 건설하는 Gangarri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계속해서 확대해나고 있다. 또한 향후 10년내 네덜란드 북부에 풍력발전을 기반으로 하는 대규모 ‘그린수소’ 발전소를 세우겠다는 목표를 발표10) 하며 수소시장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마지막으로 Shell은 BP와 마찬가지로 천연 가스 분야에서 지속적인 투자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미 총 화석연료 생산량 중 절반 이상이 천연가스이다.

Total

Total사도 풀 레인지(full-range)에너지기업으로 변신한 석유메이저로, ‘Responsible Energy Major’라는 기업목표를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 및 보급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동사는 석유·가스 탐사 및 생산에서부터 정제, 화학, 무역, 해운,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에너지 가치사슬 전반을 신재생에너지분야와 결합하려 노력하고 있다. 동사의 CEO는 이러한 움직임은 급변하는 유가에서 벗어나 미래 에너지성장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기 위한 수익다각화 전략에 근거한 것이라 강조했다. 동사는 2016년 재생에너지에 대한 유기적 성장11) 계획으로 총 자본지출의 약 3%인 연간 U$5억을 투자하여 저탄소사업을 성장시킬 것이라 발표 했다. 동 계획은 향후 20년간 자산의 20%까지 저탄소사업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사업 범위는 하류부문의 가스,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 에너지효율성, 청정연료, CCS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Total의 신재생에너지분야 활동은 태양광 발전과 바이오연료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에너지저장, 에너지효율, 풍력 및 전기 소매(electricity retail) 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전 사업범위에 걸친 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업체로의 변신을 추진하고 있다. Total은 여러 기업의 지분을 인수하는 등 비유기적 성장전략도 추진하고 있는데, 2011년 미국 태양광 전문기업 SunPower사의 지분 60%를 인수 하기 위해 U$14억을 투자했으며, 해당 인수를 통해 제조부터 프로젝트 개발까지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태양광 전문성을 완전히 갖추게 됐다. 나아가 2018년 초 미국 태양광 개발업체인 Silicon Ranch사에 U$2억 이상을 투자하여 지분 44%를 인수 했으며, 영국 최대 태양광발전소인 Bradenstoke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British Solar Renewables사와 장기 전력구입 계약을 체결했다. 이 세 번의 투자는 동사가 2009년 태양광발전 부문에서 철수를 했었던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된다. 또한 2019년 9월에는 풍력·태양광·수력 등 650MW 이상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자산을 보유한 프랑스 재생에너지기업 Eren사의 지분 23%를 U$2억8,600만에 확보 했다. 이러한 투자를 기반으로 올해 3월 태국 최대 식품회사 중 하나인 Betagro의 24개 시설에 25MW규모의 지붕형 태양광발전 장비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12)했다. 현재 Total은 1.6GW 규모의 태양광발전소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5년간 최대 5GW의 규모로 재생에너지부문을 확장할 계획이다.
한편 Total은 전기자동차 충전사업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2022년까지 1,000개의 고속 충전지점(High-Power charge point)과 300개의 충전소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Total사 또한 다른 메이저들과 같이 상류사업에서 가스비중을 확대하고 있는데, 총 화석연료 생산량 중 가스 비율이 약 50%이며 연간 LNG 거래량은 4,000만톤으로 민간기업 중 세계 2위의 규모이다. 동사는 2016년 Gas Renewables & Power 부문을 신설하여 가스와 LNG 시장의 개척, 유통, 전력 사업까지 수직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2008년 벤처캐피털사인 ‘Total Energy Ventures’를 설립해 20여개의 혁신기술 스타트업기업에 현재까지 U$2억의 자금을 투자해오고 있다. Total Energy Ventures사의 포트폴리오에는 태양광, 풍력, 해양에너지, 에너지저장, 분산 에너지기술(distributed energy tech)13), 수소, 바이오연료 등이 포함된다.

ExxonMobil

ExxonMobil사는 유럽 메이저의 사업다각화 행보를 거의 따르지 않고 신재생 에너지분야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아 친환경단체나 투자자들로부터 비난을 받아왔다. 신재생에너지부문 참여도 또한 낮은 수준으로, 미래 신재생에너지활동에 대한 비전, 투자계획, 예산, 목표가 수립되지 않은 프로젝트로 제한되어 있다. 신기술 개발 측면에서도 동사의 전략은 온실가스 감축, 바이오연료 선진화, CCS 기술력 강화 등에 국한돼 있으며, 이를 위해 MIT 및 Stanford 등 미국 유수 대학과 Department of Energy 및 IEA의 정부 R&D프로그램에 투자 및 참여하고 있다.
2019년 11월에는 상당한 비용절감이 가능한 탄소포집 연료전지(carbon capture fuel cell)14) 기술개발의 추진을 발표하기도 했다. ExxonMobil은 CCS 기술 개발 및 적용에 30년 이상의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8년 지중저장을 위해 세계 CCS 용량의 약 20%에 해당하는 7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등 CCS 사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Chevron

Chevron 또한 ExxonMobil과 유사하게 최근 유럽 메이저들의 사업 다각화 움직임을 대체로 따르지 않고 있다. ExxonMobil과 대조적으로 동사는 2000년 태양광, 풍력, 지열 사업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사업의 입지를 구축했으나 2014~2016년에 걸쳐 투자 대비 수익률이 낮다는 이유로 해당 사업들에서 철수했다. 현재는 미국의 기존 풍력 및 태양광 프로젝트로 구성된 다소 작은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고 있다.
동사도 ExxonMobil과 같이 CCS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데, 지난 10년간 CCS 관련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U$ 7,5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해왔으며, 현재는 오일샌드 생산 공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는 캐나다 Quest CCS프로젝트와 호주의 Gorgon 프로젝트와 같이 세계에서 가장 큰 CCS 프로젝트 두 곳에 U$ 11억을 투자하고 있다. 또한 Chevron은 탄소 배출감소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전환 기술에 투자하기 위해 U$1억 규모의 Future Energy Fund를 출범시켰으며, 벤처 캐피털사인 Chevron Technology Ventures사를 운영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Chevron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참여도는 다소 낮으며, 신재생에너지 관련 목표, 비전, 로드맵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메이저의 사업다각화전략 분석: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아래에서는 상기 메이저를 포함한 9개 메이저의 사업다각화 전략 특징과 공통 점을 알아보기 위해, 각사의 신재생에너지 다각화 전략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논문의 결과를 소개한다.15) [표 4]는 핵심 신재생에너지산업 진출현황 및 투자규모와 신재생에너지 전략, 조직 내 담당부서, 벤처캐피털사 설립 유무를 기준으로 기업의 에너지전환 노력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이를 기준으로 9개 메이저를 에너지 전환 선두주자 및 후발주자로 [그림 3]과 같이 구분했다. 평가항목의 중요성을 기준 으로 평가비중을 달리했으며, 해당부문의 활동이 있고(1), 없음(0)은 정성평가를 적용, 투자금에 대해서는 연간 U$10억을 기준으로 정량평가를 수행하였다.

메이저-에너지전환-노력도-평가

분석결과 ExxonMobil사를 제외한 모든 메이저는 태양광발전 및 풍력사업에 진출한 반면, 지열 에너지에 투자한 메이저는 한 곳도 없었다. 지열, 조력 등에 의한 전력생산은 특정 조건에서만 적용이 가능하거나 개발 정도가 낮고 아직은 경제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브라질의 Petrobras를 제외하고는 미국계 메이저를 포함한 모든 메이저가 CCS에 투자하고 있듯이, CCS는 탄소저감을 위한 핵심기술로 가장 각광 받고 있었다. CCS 기술 다음으로는 바이오연료에 가장 많이 투자하고 있었다. 연구 시점(2019.11)을 기준으로는 Total과 Petrobras사만이 수소부문에 투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동 분석은 주요 메이저가 최근 6개월 동안 발표한 새로운 전략들이 반영되지 않은 결과이다. 에너지저장은 전기차 보급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분야로 나타났다. 8개사 중 5개사는 신재생에너지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예산을 책정했으며, 조직에 재생에너지 전담조직을 배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8개 기업 중 6개 기업이 신재생에너지 기술 및 스타트업회사에 투자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펀드 및 벤처캐피털사를 설립했다.

메이저-재생에너지부문-활동-확인매장량-상관도

[그림 3]과 같이 확인매장량(x축)과 신재생에너지부문활동(y축)을 기준으로 메이저를 배치해보면 확인매장량과 재생에너지 투자의 확실한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매장량이 적은 메이저들은 다양하고 탄력적인 포트폴리오를 빨리 구축할 목적으로 신재생에너지부문으로 이동하고 있는 반면, 석유매장량이 많은 기업, 특히 손익분기점이 낮은 미국계 메이저들은 신재생에너지산업을 더 느린 속도로 포용하는 전략을 선택하고 있다. BP사는 풍부한 확인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신재생에너지분야에서 점점 더 활발한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추세에서 이탈한 결과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보면 [그림 3]에 표시된 것처럼 메이저는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녹색으로 표시된 Shell, Total, BP, Eni, Equinor사는 신재생에너지 선두주자이자 에너지전환기업으로 분류되며, 이중 Shell사가 에너지전환 노력측면 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ExxonMobil, Chevron, Petrobras사는 신재생에너지 후발주자이자 기존 석유·가스개발 집중기업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 4]의 탄소저감목표와 사업다각화 정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Woodmac사의 분석결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메이저-사업다각화전략-탄소저감목표-상관도

나가며

이번 글에서 에너지전환을 둘러싼 다양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 노력한 결과, 관찰된 주요 포인트는 2가지로 나뉜다. 우선, 에너지전환 움직임은 단기적으로 ‘정부정책’과 장기적으로 ‘석유수요 전망’에 따를 것이라는 점이다. 또 다른 포인트는 코로나19가 석유 수요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장기적인 예상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수요를 결정하는 수많은 변수 중 하나인 ‘코로나19가 인간의 행동양식에 영구적인 변화를 남길 것인가?’와 같은 변수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현 상황에서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대비를 해야만 한다.그렇다면 우리는 어디로 가야할까? 현재 유럽계 메이저는 탄소저감목표를 계속적으로 강화하며, 목표달성과 함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신재생분야 로의 ‘다각화전략’을 선택했다. 반면, 미국계 메이저는 기존사업의 ‘집중전략’을 택했고, 향후 변화에 대해서는 유럽계 메이저에 비해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있지는 않아 보인다. 현재로서는 유럽과 미국계 메이저 중 누가 옳은 선택을 한 것인지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당황하는 쪽은 미국계 메이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유럽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코로나 19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그린뉴딜’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에너지환경정책의 글로벌 패러다임 변화는 우리에게 새로운 에너지로 사업을 다각화해야만 하는 명확한 동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공사로서는 부유식 해상풍력 및 CCS 사업추진을 통해 탄소배출 감소는 물론 기존 석유·가스사업과 시너지를 얻을 수 있는 신사업으로의 다각화를 준비해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동해가스전탐사 또한 가스의 비중확대 및 수소산업의 기회측면에서 유럽계 메이저의 ‘다각화 전략’에 맥을 같이 한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유럽계 메이저의 전략을 벤치마킹해 본다면, 우리가 눈여겨봐야 할 이들의 전략적 특징 및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모든 유럽계 메이저들은 포트폴리오 탄력성 강화를 위해 ‘석유·가스 회사’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아우르는 ‘에너지회사’로 변신하고 있으며, 화석연료의 경우에는 가스의 비중을 점점 늘려가고 있다. 또한 M&A나 전략적 제휴를 통한 비유기적 성장전략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태양광 발전, 바이오연료 등 우리가 내부역량을 갖추지 못한 분야로 진출 시 하나의 전략적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에너지전환 참여도가 낮은 미국계 메이저를 포함한 거의 모든 메이저들이 CCS 사업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CCS 저장기술의 대부분이 석유회사의 유·가스전개발 전문성 및 자원활용이 가능한 분야라는 점이 핵심요인으로, 우리도 국내 대륙붕 탐사 경험을 활용한 CCS 저장소 탐사 및 계속적인 CCS 기술역량 강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유럽 메이저는 기존의 자사 정유소 및 주유소를 바이오 연료·수소의 생산/저장/공급처나 또는 전기차 충전 포인트로 활용 및 전환하고 있다. 최근 한국가스공사 또한 유럽의 가스유통사들처럼 기존 천연가스사업 노하우와 공급망을 활용해 수소사업에 진출한 것처럼, 공사의 경우 비축시설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현실과는 차이가 큰 메이저의 전략을 그대로 추진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모든 전략의 실질적 이행을 위해서는 ‘우리의 현실에 맞는 장·단기적, 그리고 구체적인 에너지전환전략의 수립’이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상류 사업과 신재생에너지사업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포트폴리오 모델 구축과 두 사업의 공익성과 수익성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철저한 사업분석 및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코로나19로 석유시장 상황이 악화되면서, 석유산업의 위기는 업계에서 주요 이야깃거리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우리를 움츠리게 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간의 어려운 상황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저탄소 에너지 미래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경험, 기술, 지식과 자원을 갖고 있다고 확신한다. 지금은 우리가 처한 현실을 냉정히 받아들이되, 이러한 위기상황이야 말로 공사와 같은 후발 주자들이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역설적 각오를 가슴 깊게 품고 한발 한발 묵직하게 나아갈 때이다.


참고

1) 탄소강도(Carbon Intensity, CO2e/TJ): 소비한 에너지에서 발생된 탄소배출량을 총 에너지소비량으로 나눈 값 으로, 높을수록 탄소함유량이 높은 에너지 사용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 ex) 같은 열량의 에너지를 얻기 위해 중유(테라줄(TJ)당 약 76t의 이산화탄소 배출)를 소비하는 것이 천연가스(테라줄(TJ)당 56t의 이산화탄소 배출)를 소비하는 것보다 탄소강도가 높음
2) Repsol사는 2020년 중에 탄소저감목표를 업데이트할 예정이라 발표
3) 석유·천연가스 기후 이니셔티브(Oil & Gas Climate Initiative, OGCI): 유럽 및 신흥국의 석유회사에서 만든 환경대책 공동조직으로 2014년 출범
4) OMV(Austrian Mineral Oil Administration):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중동부유럽 최대 에너지기업이자 오스 트리아 최대 상장기업(매장량: 원유 5억 7,100만 배럴 / 가스 3조 3,160억 입방피트, PIW 발표, 2017년 기준)
5)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분야별로 당사국이 취할 노력을 스스로 결정하여 제출한 목표로 2016년 4월 4일까지 189개 당사국이 161개 NDC(EU와 EU의 28개 회원국을 합한 29개 당사국이 공동으로 제출한 NDC는 1개로 계산)를 제출했음. 당사국은 5년마다 NDC를 새로 통보해야 하며, 2020년까지 각국은 두 번째 NDC를 통보해야 함. 당사국이 제출한 161개의 NDC를 종합하여 분석한 2016년 5월의 유엔 기후변화협약 보고서에 따르면, 이 모든 NDC가 이행된다 하더라도 2°C 목표는 달성 불가함 ‘탄소행동추적(CAT, Climate Action Tracker)’에 따르면 이 경우 지구 평균 온도는 3°C 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견
6) 한국법제연구원,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
7) 에너지생산량의 59%를 차지하며 배출량은 연간 8억tonCO2e이상임
8) BP는 바이오연료가 수송부문의 온실가스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음. 브라질 사탕수수에서 매년 약 7.7억 리터의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 중이며, 이는 기존에 사용되는 수송연료보다 온실가스를 약 70% 덜 배출함. 또한 2018년 사탕수수 줄기를 활용하여 125만 명에게 공급할 가능한 용량인 892GWh의 바이오 전력(Biopower)을 생산, 이 중 약 70%를 브라질 지역 전력망으로 공급함
9) 기존의 전력시스템으로부터 독립된 분산전원을 중심으로 한 국소적인 전력공급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존 전력시스템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짐
10) 현재 약 1년간의 타당성 검토 과정에 들어간 동 계획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그린수소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해상풍력 설비를 2030년까지 3~4GW, 2040년까지 10GW 규모로 확대하여 ‘유럽 수소 밸리’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임
11) 유기적 성장(organic growth): 내부 개발 역량에 의존하여 회사의 사업을 통한 성장을 의미 비유기적 성장(inorganic growth): 전략적 제휴나 인수합병을 통해 외부 자원을 활용하는 방식
12) 동 태양광 프로젝트는 62,000개 이상의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매년 38GW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가동 기간 동안 총 2만 6천 톤의 탄소배출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13) 분산에너지는 주로 열병합발전, 마이크로 가스 터빈, 태양광과 같은 소규모 재생가능에너지와 전력 생산시설을 의미
14)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CO2를 포집 및 농축하기 위해 탄산염 연료전지(carbonate fuel cell)를 사용하며, 연료 전지는 전력을 생산 및 저장함. 기존의 탄소 포집방법은 90%의 탄소 포집을 위해 상당한 전력을 소비하나, 동 기술은 탄소포집과 동시에 전력생산이 가능. 500MW규모의 발전소에서 120MW의 추가 전력 생산이 가능함
15) Matthias J. Pickl, The renewable energy strategies of oil majors – From oil to energy?, 2019.11.


한국석유공사 에너지정보팀 대리 김준식

본 콘텐츠는 한국석유공사에서 발행한 주간석유뉴스를 발췌하여 재구성한 것입니다.
본 콘텐츠의 IP/콘텐츠 소유권은 한국석유공사에 있으며 Reproduction을 제한합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GS칼텍스에 의해 작성된 본 콘텐츠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으며, 한국석유공사의 저작물에 기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