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트렌드에 발맞춰 산업통상자원부는 ‘AI 자율제조 전략’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GS칼텍스는 석유화학 부문의 ‘앵커 기업’으로 선정되었는데요. 산업 전반에 적극적으로 AI 기술을 도입하고 확산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연말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AI자율제조 부문’ 표창장을 수상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무엇이고, GS칼텍스가 꿈꾸는 AI 자율제조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프로젝트의 총괄 담당인 GS칼텍스 디지털혁신팀 김창헌 책임과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조업 분야에서의 인공지능(AI) 기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AI 자율제조 도입률을 2030년까지 40%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제조 생산성과 국내총생산(GDP)를 높인다는 계획인데요. 이를 실현하기 위해 AI 기반 제조업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관련 기업 인센티브 확대, 스마트 팩토리 확산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GS칼텍스는 이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 참여 기업으로서, 9개 활동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연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수상했습니다. 이를 총괄 담당했던 GS칼텍스 디지털혁신팀 김창헌 책임을 만나 AI 자율제조 플랫폼 프로젝트와 향후 전망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AI 자율제조 플랫폼’ 자세히 알아보기

Q. 이번 프로젝트를 한 마디로 설명해주세요.
A. AI 자율제조 플랫폼이란 쉽게 말해 공장이 스스로 생각하고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금까지는 숙련된 작업자가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공정을 조정해왔어요. 하지만 이제는 AI 자율제조 시스템을 통해 AI가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최적의 운영 방식을 찾아서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인공지능이 최적의 운영 방식을 알아서 찾아주니, 이 과정에서 에너지 사용도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도 감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죠.
Q. 정부에서도 AI 자율제조 플랫폼 프로젝트를 주목하고 있다고 들었어요.
A. 맞습니다. AI를 활용한 제조업 혁신은 전 세계적인 트렌드인데요.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AI 자율제조 전략’을 추진하면서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를 출범한 바 있으며, GS칼텍스는 석유화학 부문의 ‘앵커 기업’으로 선정됐습니다. 즉, GS칼텍스가 이 분야에서 앞장서서 AI 기술을 도입하고, 산업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 거죠.
프로젝트 진행 프로세스, 그리고 도입 이후의 변화

Q. 프로젝트가 꽤 긴 여정을 갖고 있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진행될 예정인가요?
A. 맞습니다! 총 4년 동안 2단계로 진행될 예정인데요. 자세한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즉 1단계에서는 AI가 각각의 공정을 더 똑똑하게 조정하고, 2단계에서는 모든 공정을 연결해 공장이 스스로 움직이도록 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죠!
Q. AI가 공정을 최적화하면, 실제로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A. 예를 들어,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열로(Heating Furnace)’ 설비를 생각해볼게요.
기존에는 작업자가 직접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면서 운전 조건을 설정했어요. 하지만 AI가 도입되면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해서 자동으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연료 사용량은 줄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감소하죠.
뿐만 아니라, 공정 데이터를 AI가 분석하면서 설비의 고장 가능성을 예측하고, 사전에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요.
GS칼텍스, AI 기술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수상하다

Q. 이번 프로젝트 이전에도 AI 자율제조 기술을 적용한 사례가 있나요?
A. 네, 사실 GS칼텍스는 이미 여수공장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혁신을 시도하고 있었어요. 이러한 노력을 인정 받아 2024년 12월에는 당당히 산업부장관 표창을 받기도 했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그 이상의 의미

Q. AI 자율제조 기술이 앞으로 산업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A. 단순히 생산 효율을 높이는 것을 넘어, 산업 전체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계기가 될 거라고 생각해요.
최근 중국의 설비 증설로 공급 과잉이 심화되고, 전 세계적으로 석유화학 산업이 불황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AI 기반의 공정 최적화는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 개선을 통한 수익성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AI 기술을 통해 지역 내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겠죠.
Q. 앞으로 GS칼텍스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A. 단기적으로는 AI 자율제조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여수공장에서 실증을 완료하는 것입니다.
장기적으로는 GS칼텍스뿐만 아니라, 국내 정유·석유화학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역할을 하고 싶어요. AI가 단순히 기술적 도구를 넘어,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힘이 될 거라고 믿습니다. GS칼텍스는 앞으로도 AI를 활용한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GS칼텍스의 AI 자율제조 플랫폼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에너지 산업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중요한 프로젝트입니다.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