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S칼텍스 2022년 지속가능성보고서 톺아보기 (3) 거버넌스(Governance) 편

GS칼텍스 2022년 지속가능성보고서 톺아보기 (3) 거버넌스(Governance) 편

💡 본 콘텐츠는 4개의 시리즈로 구성된 GS칼텍스의 2022년 지속가능성보고서 해설 콘텐츠입니다. 아직 지난 편을 보지 못하셨다면 아래 초록색 플러스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이 알림을 해제하십시오. [2022 지속가능성 보고서] 시리즈 1편 : GS칼텍스 2022년 지속가능성보고서 톺아보기 (1) 환경(Environmental) 편 2편 : GS칼텍스 2022년 지속가능성보고서 톺아보기 (2) 사회(Social) 편 건전하고 책임 있는 지배구조를 확립해 나가다 GS칼텍스는 경영활동 전반에서 올바른 의사결정과 ESG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건전한 지배구조를 바탕으로 공정하고 책임있는 컴플라이언스 경영을 실천하고 고객 정보 보호 및 리스크 관리 활동을 수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GS칼텍스 2022년 지속가능보고서 세 번째 시간! 오늘은 Governance(거버넌스) 영역을 함께 살펴볼 차례입니다. 2022 지속가능성보고서 전체보기 (국문) 2022 지속가능성보고서

GS칼텍스 2022년 지속가능성보고서 톺아보기 (1) 환경(Environmental) 편

GS칼텍스 2022년 지속가능성보고서 톺아보기 (1) 환경(Environmental) 편

GS칼텍스는 오늘날 기업 경영의 필수 요소인 ESG의 성과와 비전이 담긴 ‘2022년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GS칼텍스는 체계적인 지속가능 경영활동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E: Environmental), 임직원 · 협력사 · 지역사회와의 상생(S: Social), 투명한 윤리경영과 건전한 지배구조(G: Governance)를 실현해 나가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부터 다양한 친환경 사업, 환경영향 저감을 위한 활동 등 GS칼텍스의 다양한 시도와 성과를 함께 살펴봅니다.

플라스틱 마크 속 숫자의 비밀

편의점이나 카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회용 컵에는 플라스틱 마크 속에 숫자가 쓰여 있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우리가 매일같이 사용하는 플라스틱, 이 플라스틱 마크 속 숫자에는 비밀이 있습니다.

세계경제연구원 30주년 컨퍼런스: ‘지정학적 도전, 기후변화 위기, 그리고 세계 경제 미래’

세계경제연구원 30주년 컨퍼런스: ‘지정학적 도전, 기후변화 위기, 그리고 세계 경제 미래’

GS칼텍스의 후원으로 개최된 세계경제연구원 창립 30주년 기념 특별 국제컨퍼런스가 지난 2023년 4월 26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렸습니다. 세계적 석학들과 국내외 경제전문가를 비롯한 오피니언 리더, 정부 인사들이 참여하여 ‘지정학적 도전, 기후변화 위기, 그리고 세계경제 미래’를 주제로 고견을 나누었습니다.

공시혁명: ESG 공시 의무화가 불러올 미래

공시혁명: ESG 공시 의무화가 불러올 미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가 한국에 처음 등장했던 2003년. 20년 만에 혁명이라 불릴만한 변화가 시작됐다. 기업들이 광고하듯 선언했던 탄소중립은 기본값이 되었고, ESG 공시는 공개해야 하는 정보의 종류, 방법, 기준이 정해졌다. ESG 공시 혁명은 이미 시작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의 습격, 올바른 플라스틱 사용 방법

“미세플라스틱의 습격!” 올바른 플라스틱 사용 방법은?

일상 속 일회용 플라스틱은 많은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발생시키며, 인체의 위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노출을 줄이기 위해서 우리가 실천해야 할 올바른 플라스틱 사용법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