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설지 않게 들려오지만, 막상 자세히는 모르는 음악이 있습니다. 익숙한 멜로디 속에 오래된 이야기를 품은 클래식이 그렇습니다. 카페의 배경음악, 광고의 한 장면, 드라마나 영화의 중요한 순간에도 클래식은 자연스럽게 스며 있습니다. 대부분 들어본 선율이지만, 정작 제목이나 음악에 담긴 그 시대의 이야기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클래식은 먼 시대의 음악이 아니라, 지금 우리의 일상을 감싸는 익숙한 낯섦입니다. 이제 그 친숙한 멜로디 속으로 들어가, 시대의 정서와 마음이 어떻게 음악에 담겨왔는지 함께 들여다봅니다.
시대의 표상, 클래식

음악은 시대의 얼굴을 닮습니다. 혼란의 시대에는 질서로 감정을 다스렸고, 자유의 시대에는 마음의 울림으로 세상을 비췄습니다. 시간이 흘러도 사람들은 여전히 음악으로 마음을 나누고 위로 받습니다.
바로크에서 20세기에 이르기까지 클래식은 각 시대가 감정을 표현하고 다루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지금 우리가 무심히 듣는 그 선율들은, 사실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고 마음을 다스려온 흔적입니다.
이제 그 선율의 출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 봅니다. 신앙과 질서로 감정을 다스리던 바로크에서, 감정의 자유를 노래한 낭만주의, 그리고 실험과 해방의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음악은 언제나 시대의 마음을 담아왔습니다.
바로크, 질서로 감정을 다스린 시대
17세기 유럽은 전쟁과 종교 개혁으로 혼란스러웠습니다. 사람들은 무너진 세상 속에서 질서를 다시 세우고자 했고, 음악은 그 마음을 표현하는 언어가 되었습니다. 여러 선율이 조화를 이루며 질서를 이루는 바로크 음악은, 혼란을 다스리려는 시대의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 〈예수, 인간의 소망과 기쁨〉 (1723)
라이프치히 성 토마스 교회에 부임한 바흐는 첫 예배를 위해 이전에 쓴 칸타타를 다듬어 이 곡을 완성합니다. 부드러운 9/8 박자 위에 규칙적인 리듬이 이어지며, 질서 속의 평화를 전합니다. 오늘날에도 이 곡이 결혼식이나 명상 음악으로 자주 쓰이는 이유는 그 안정감이 세대를 넘어 마음을 가라앉히기 때문입니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울게 하소서〉 (1711)
25세의 헨델이 런던에서 발표한 오페라 《리날도》 속 아리아로, 자유를 잃은 여인이 신에게 바치는 기도입니다. 단순한 선율과 절제된 감정이 어우러져 슬픔과 체념, 그리고 희망을 담았습니다. 종교적 신념을 넘어 인간의 마음을 가장 진솔하게 드러낸 음악으로, 지금도 수많은 영화와 공연에서 울려 퍼집니다.
요한 파헬벨 – 〈캐논〉 D장조
1680년대 독일에서 작곡된 이 곡은 20세기 후반 재발견되며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실내악이 되었습니다. 세 대의 바이올린이 같은 선율을 시차를 두고 따라가며, 단순한 8마디의 베이스 위에 질서 정연하게 어우러집니다. 그 반복과 균형은 바로크 음악이 추구한 조화의 정신을 가장 아름답게 보여줍니다.
고전주의, 조화 속 자유를 찾는 시대
18세기 후반, 음악의 중심은 귀족의 전유물에서 시민 사회로 확장됩니다. 사람들은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되, 그 안에 명확한 구조와 균형을 두려 했습니다. 고전주의는 ‘조화 속의 자유’를 예술로 보여준 시대입니다.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 – 〈교향곡 94번 ‘놀람’〉 (1791)
런던 체류 시절, 하이든은 여러 교향곡을 남겼습니다. 그중 ‘놀람’ 교향곡은 조용하고 단정한 선율 속에 갑작스러운 팀파니의 강한 음을 더해 청중을 깜짝 놀라게 한 작품입니다. 공연 중 졸던 관객을 깨우기 위해 넣었다는 일화로도 유명하지만, 이 변화는 단순한 유머를 넘어섭니다. 예기치 못한 전환 속에서도 질서와 균형을 잃지 않는 구조는, 고전주의 음악이 지닌 긴장과 조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21번〉 2악장 (1785)
모차르트가 빈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던 시기에 남긴 협주곡으로, 절제된 형식 안에서 피아노와 관현악이 조화롭게 호흡을 맞춥니다. 단정한 선율을 중심으로 흐르지만, 음색과 흐름을 조금씩 바꾸며 음악의 밀도를 차근차근 쌓아 올리는 방식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특히 2악장은 고전주의 특유의 균형감과 담백한 아름다움이 또렷하게 드러납니다.
낭만주의, 감정 중심의 시대
19세기, 산업화와 개인주의의 확산으로 예술은 왕이나 교회를 위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면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습니다. 음악은 감정의 언어가 되었고, 사랑과 고독, 그리움이 작품의 중심에 자리합니다.
프레데리크 쇼팽 – 〈녹턴 2번〉 (1831)
파리 망명 시절에 작곡된 이 곡은 고향을 떠난 젊은 작곡가의 감정을 담았습니다. 왼손의 잔잔한 반주 위에 오른손의 선율이 유려하게 흐르며,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그리움과 고요한 슬픔을 전합니다. 단조로운 듯 섬세한 선율 덕분에 지금도 밤과 사색을 상징하는 곡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프란츠 리스트 – 〈사랑의 꿈 3번〉 (1850)
프란츠 리스트의 작품은 화려한 기교로 유명하나, 이 곡에서는 감정의 깊이가 중심입니다. 세 곡의 가곡을 피아노 독주로 편곡한 작품으로, 세 번째 곡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조용히 시작해 감정이 고조되었다가 다시 사라지는 흐름은 사랑의 기억과 회한을 그린 듯합니다. 서정적이면서도 절제된 이 곡은 낭만주의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후기 낭만과 20세기, 감각과 자유의 시대
19세기 말, 음악은 감정의 표현을 넘어 형식 자체를 새롭게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국경과 장르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재즈와 클래식, 민속음악이 뒤섞이며 새로운 언어가 태어났습니다. 작곡가들은 전통의 규칙에서 벗어나 감각과 자유를 작품에 녹였습니다.
클로드 드뷔시 – 〈달빛〉 (1890, 개정 1905)
프랑스 시인 베를렌의 시에서 영감을 받은 이 곡은, 달빛이 물 위에 번지는 듯한 화음으로 시작됩니다. 전통적인 작곡법에서 벗어나 인상과 감각을 중시한 음악으로, ‘소리로 그린 그림’이라 불립니다. 드뷔시는 이 작품을 통해, 풍경이나 감정을 단어 없이도 음악만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아스토르 피아졸라 – 〈리베르탱고〉 (1974)
아르헨티나의 작곡가 피아졸라는 전통 탱고에 클래식의 구조를 더해 ‘누에보 탱고’를 만듭니다. ‘리베르탱고’는 자유(libertad)와 탱고(tango)의 합성어로, 격렬한 리듬 속에서도 질서가 살아 있는 곡입니다. 피아졸라는 이 작품을 통해 탱고를 단순한 춤의 음악이 아닌, 예술로 끌어올렸습니다. 지금도 영화 〈여인의 향기〉 속 춤 장면 음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예술의 힘을 잇는 다리, GS칼텍스 문화예술 후원

클래식이 마음을 나누고 에너지를 불어넣는 예술이라면, 기업은 그런 예술을 세상과 나누는 다리를 놓을 수 있습니다. GS칼텍스는 에너지 기업이자, 문화의 에너지를 전하는 후원자입니다. 예술을 누구나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예술후원 우수기관’ 인증을 꾸준히 받아왔으며, 2025년에도 재인증을 획득했습니다. 또한 2024년에는 국내 예술 발전에 기여한 기업과 기업인에게 수여하는 ‘메세나대상’에서 대통령표창을 받았습니다. 이는 문화예술 후원을 넘어, 예술이 우리 삶의 지속 가능한 일상 경험으로 자리 잡도록 한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입니다.
여수의 GS칼텍스 예울마루와 서울의 GS아트센터는 그 노력을 상징하는 공간입니다. 이곳에서는 클래식 공연뿐 아니라 연극, 무용, 전시 등 다양한 예술이 이어집니다. 누군가에게는 처음 듣는 선율일 수 있고,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오래된 기억을 다시 꺼내는 순간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예술이 멀게 느껴지지 않도록, GS칼텍스는 예술을 통해 시대와 사람, 그리고 마음을 잇는 무대를 만듭니다. 이런 문화의 장은 단순한 관람의 공간이 아니라, 사람들이 예술을 통해 감정을 나누고, 시간을 함께 채워가는 자리입니다. 그것이 바로 GS칼텍스가 전하는 또 하나의 에너지입니다.
오늘, 클래식 한 곡

클래식은 머리로 이해하는 음악이 아니라, 마음으로 듣는 이야기입니다. 한 시대의 배경을 알고 나면, 익숙했던 멜로디가 전혀 다르게 들립니다. 음악 속에는 누군가의 믿음, 사랑, 그리고 살아가던 시간이 담겨 있습니다.
오늘 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선율이 있다면, 잠시 멈춰 그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세요. 여러분의 마음을 울리는 가장 따듯한 선물이 될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