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레포트] 세계 에너지 통계 분석 및 한국의 에너지 부문 내 국제적 위상

GS칼텍스 -

💡 본 콘텐츠는 대한석유협회가 발간한 “세계 에너지 통계 분석 및 한국의 에너지 부문 내 국제적 위상”을 요약한 자료로 대한석유협회의 허가를 받아 게재되었습니다.

대한석유협회가 지난 9월 “세계 에너지 통계 분석 및 한국의 에너지 부문 내 국제적 위상”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GS칼텍스가 석유 산업을 중심으로 보고서 내용을 소개합니다.

세계 석유 소비 동향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됐습니다. 이 중에서도 아시아, 특히 중국이 세계석유 소비 증가를 주도하고 있는데요. 중국은 석유 정제 능력, LNG 수입 능력이 각각 미국과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에서 1위로 상승했습니다. 일본은 석유 정제처리량 순위가 한 단계 하락하여 세계 7위에서 8위를 차지했죠. 반면 한국은 6년 연속 석유 정제능력 세계 TOP5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석유(Oil*)

*원유, 셰일오일, 오일샌드, 콘덴세이트, NGLs 포함(단, 바이오매스/석탄/천연가스 등에서 생산된 액체연료는 제외

[에너지레포트] 세계 에너지 통계 분석 및 한국의 에너지 부문 내 국제적 위상 | 표 01
[에너지레포트] 세계 에너지 통계 분석 및 한국의 에너지 부문 내 국제적 위상 | 표 02 2

(1) 석유 소비

세계 석유 소비는 ‘22년도 약 97.7백만 b/d에서 ‘23년도 약 100.2백만 b/d[y/y,+2.6%]로 증가했습니다. ‘23년 석유 소비 증가율(2.6%)은 ‘22년의 직전년도 증가율(3.1%)보다는 둔화되었지만, 최근 10년(‘13~’23년) 연평균 증가율(1.1%)보다는 웃도는 수준인데요. 이는 석유 소비세가 코로나가 발생한 ‘20년 소비 감소율(-8.9%)에서 완연히 회복하는 추세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23년은 코로나 발생 이후 최초로, 코로나 위기 직전년인 ’19년 98.2백만 b/d보다 세계 석유 소비량이 많았던 해로 기록됐습니다.

지역별 동향을 살펴보면, OECD는 전년도와 유사하고(약 -4만 b/d), 비OECD는 대폭 증가(4.9%↑,+258만 b/d)했습니다. 참고로 EU는 –1.9% 감소했는데요. 국가별로는 아시아, 특히 중국이 세계 석유 소비 증가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3년 지역별 석유 소비 및 전년대비 증감율(천 b/d, %)

북미중남미유럽구소련(CIS)중동아프리카아시아·태평양전세계
석유소비량23,2966,44513,9044,6369.6464,23338,061100,221
y/y, %+0.8+3.2-0.8+1.1+2.6+5.4+2.6

이러한 중국의 석유 소비는 전년대비 1,607천 b/d(역대 중국 최대 증가폭)[y/y, +10.7%] 증가했습니다. 세계 석유 소비 증가율은 중국의 경제 성장률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데요. 가령 중국의 GDP 증가율은 2010년 마지막으로 두 자리 수 경제성장률(10.0%)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띄다가 코로나 시기 대폭락했죠. 이후 반등 패턴이 세계 석유 소비세와 유사합니다.

한편, 석유 제품 소비는 ‘22년 97,683천 b/d에서 ’23년 100,221천 b/d[y/y, 2.6%]로 증가했습니다. 제품 항목별로 확인했을 때, 경질유(+2.7%), 중질유(+3.7%), 중유(+1.1%), 기타(+1.5%)로 주로 경질유와 중간유가 소비 증가를 주도했습니다. 또한, 주요 제품별로는 휘발유(+3.0%), 나프타(+1.5%), 경유(+0.6%), 항공유•등유(+17.5%) 순으로 소비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항공유는 코로나 엔데믹에 따른 해외 여객 수요로 증가했고, 경유는 산업용 및 IMO 선박유 규제에 따른 저황 선박유 수요 증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됩니다. 에탄·LPG는 석유화학용 소비가 증가했고, LPG는 대표적인 나프타 대체제로서, 가격 안정 기조 속에 향후에도 소비 상승할 전망이죠.

세계 석유제품별 소비 증가, 감소 현황(2023년) (단위 : 천 b/d)

석유제품2022년(a)2023년(b)차이(b-a)y/y
경질유(Light distillates)30,32731,1518242.7%
휘발유23,89024,6167263.0%
나프타6,4376,535981.5%
중간유(Middle distillates)34,04735,3011,2553.7%
경유27,80127,9601590.6%
항공유·등유6,2457,3411,09617.5%
중유(Fuel oil)7,2847,365801.1%
기타(Others)26,02526,4043791.5%
에탄·LPG14,24914,7034533.2%
전세계 합계97,683100,2212,5372.6%

총 석유류* 소비 역시, ‘22년 100.6백만 b/d에서 ‘23년 103.4백만 b/d[y/y, +2.8%]로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전, 1억 b/d을 밑돌던 총 석유류 소비는 ’22~’23년 각각 3.2%, 2.8%씩 증가했죠. 한국 석유 소비 규모는 2,797천 b/d로 세계 7위지만, 한국 총 석유류 소비 규모는 ‘23년 2,814천 b/d로 세계 8위입니다.

*총 석유류(Total liquids) 바이오연료(휘발유 혼합 에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매스/석탄/천연가스 등에서 생산된 액체연료 및 해상 벙커링 등이 포함


(2) 석유 생산 및 정제 능력

세계 석유* 생산은 ‘22년 94.4백만 b/d에서 ‘23년 96.3백만 b/d[y/y +2.0%]로 증가했습니다.

* 원유, 셰일오일, 오일샌드, 콘덴세이트, NGLs(천연가스 생산시 분리된 에탄, LPG, 나프타) 포함. 단, 바이오연료, 석탄/천연가스에서 추출된 합성 파생물, 고형물에서 추출된 오일셰일/등유분은 제외

최근 들어 세계 석유 생산이 감소했던 시기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09년 및 코로나가 발생한 ’20년 두 차례뿐입니다. ‘23년은 코로나 발생 이후, 코로나 이전 직전 년도(‘19년. 95.2백만 b/d) 생산규모를 상회한 첫 번째 해로 기록되는데요.

지역별로 보면 OPEC, EU는 감소한 반면, 그 외 지역은 증가했죠. ‘23년 OPEC 생산은 약 34백만 b/d[y/y,-0.6%]로 코로나 이후 첫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cf) OPEC(b/d) : (‘19년) 35.1백만 → (’20년) 31.1백만 → (‘22년) 34.3백만

주요 국가별로 분석해보겠습니다. 세계 1위의 석유 생산국은 미국으로 큰 폭으로 생산이 증가(약 151만 b/d)했습니다. ‘23년 19.4백만 b/d[y/y, +8.5%]를 기록했죠. 세계 2위의 석유 생산국은 OECD의 맹주 사우디아라비아로 ‘23년 석유 생산량은 11,389천 b/d[y/y,-0.6%]입니다. 뒤를 이어 세계 3위의 석유 생산국은 비OECD 중심국이며 현재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입니다. ‘23년 석유 생산량은 11.1백만 b/d[y/y,-1.1%]입니다. 참고로 최근 10년(’13년~’23년) 석유생산 연평균 증가율은 1.1%입니다.

2023년 지역별 연간 증감(백만 b/d)

OPEC비OPEC전세계
-0.2+2.05+1.85

역사적 석유생산 증가 CASE (백만 b/d)

미국,
2018년
사우디,
1991년
미국,
2014년
미국,
2023년
2.181.791.701.51

2023년 지역별 석유 생산량 및 전년대비 증감(천 b/d)

북미중남미유럽구소련(CIS)중동아프리카아시아·태평양전세계
생산량27,0507,3683,22513,74830,3627,2287,22796,258
전년대비+1,689+742+11-305-482+165+26+1,846

한편, 세계 석유정제능력은 ’22년 101.4백만 b/d에서 ‘23년 103.5백만 b/d[y/y,+2.1%]로 증가했습니다. 정제능력 증가폭(약 2.1백만 b/d)이 1977년 이후 최대 증가치를 기록했는데요. 작년은 코로나19 시기 위축되었던 정제능력이 ’19년 수준을 회복(상회)한 첫 해입니다. 세계 정제능력 증대 지역을 살펴보면, 중국(+1,225천 b/d), 중동(+806천 b/d), 쿠웨이트分(+474천 b/d), 미국(+368천 b/d)순입니다. 한국은 ‘23년 기준 석유 정제능력 규모가 3,363천 b/d로 세계 5위이며, 일본은 세계 7위(3,069 b/d)를 차지했습니다.

한국의 에너지 부문별 국제적 위상(2023년)

[석유] 정제능력 세계 5위(6년 연속, ’18~’23), 정제처리량 세계 6위, 소비 세계 7위

항목 (석유, 천b/d)세계 1위세계 2위세계 3위한국
정제능력중국 18,484미국 18,429러시아 6,781세계 5위 (3,393)
정제처리량미국 15,963중국 15,102러시아 5,668세계 6위 (2,758)
소비(OIL)미국 18,984중국 16,577인도 5,446세계 7위 (2,797)
석유제품 수출(억$)미국 1,129인도 850네덜란드 720세계 5위 (509)

반면, 세계 정제 처리량은 ‘22년 81.7백만 b/d에서 ‘23년 82.9백만 b/d[y/y +1.6%]로 증가했습니다. ‘23년 세계 정제 처리량의 증가폭이 세계 정제능력 증대 폭에는 미치지 못한 것인데요. 지역별로 분석해보면 아시아•태평양은 증가(+3.7%)했으나 북미지역은 감소(-0.1%)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 석유 정제 처리량이 약 121만 b/d[y/y,+8.7%]로 대폭 증가했죠. 세계 정제 능력, 정제처리량을 통해 추정하는 세계 정제가동률(’23년)은 약 81.2%입니다.

정제마진(세계 벤치마크 평균. $/B) : (2022년) 18.5 → (2023년) 13.9 [-4.6, $/B]

지역별 정제마진($/B)

2023년(平)2022년(平)차이(y/y)
USGC Medium Sour Coking21.728.1-6.4
NWE Light Sweet Cracking13.716.3-2.6
Singapore Medium Sour Hydrocracking(아시아)6.211.2-4.9
평균13.918.5-4.6
자료 : EI(Energy Institute) 2024

(3) 석유 교역

세계 석유 교역량은 ‘22년 68.4백만 b/d에서 ‘23년 68.1백만 b/d[y/y, -0.4%]로 감소했습니다. 전년대비 약 27만 b/d(-0.4%) 감소하였는데요. 코로나 이전 ‘19년 교역 수준(약 7천만 b/d)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동 수출, 미국 수입 교역이 감소한 반면, 미국 수출(최대. 약 9.1백만 b/d), 중국 수입(최대. 약 13.7백만 b/d)은 증가했죠.

[보충] 2023년 국가별 석유제품 수출 순위

순위국 가수출 금액(US $)비 고
1미국$1,129억전체 수출자의 11.6% 차지
2인도$850억
3네덜란드$720억
4싱가포르$570억
5한국$509억cf) 산업부(‘24.8월 자료) : $520억
cf) 국내 정유사 수출비중(‘23년) : 57%
6UAE$503억
7러시아$494억
8중국$484억본토 only(홍콩, 마카오 등 제외)
9벨기에$452억
10사우디아라비아$367억
자료 : https://www.worldstopexports.com

한국의 에너지 부문별 국제적 위상(2023년)

[석유] 정제능력 세계 5위(6년 연속. ‘18~’23), 정제처리량 세계 6위, 소비 세계 7위

항목 (석유, 천b/d)세계 1위세계 2위세계 3위한국
정제능력중국 18,484미국 18,429러시아 6,781세계 5위 (3,393)
정제처리량미국 15,963중국 15,102러시아 5,668세계 6위 (2,758)
소비(OIL)미국 18,984중국 16,577인도 5,446세계 7위 (2,797)
총 석유류 소비
(바이오연료 등 포함)
미국 20,246중국 16,658인도 5,544세계 8위(2,814)
석유제품 수출(억$)미국 1,129인도 850네덜란드 720세계 5위 (509)
*자료 : EI 등 참고

[기타] LNG 수입 세계 3위, 전기 생산 세계 8위, 에너지 부문 CO₂ 배출 세계 10위

항목세계 1위세계 2위세계 3위한국
LNG 수입(억 ㎥)중국 978일본 903한국 606세계 3위(606)
석탄 소비(EJ : 1018J)중국 91.9인도 21.9미국 8.2세계 8위 (2.7)
에너지부문 CO2 배출(MMT)중국 11,218미국 4,640인도 2,814세계 10위(571)
전기 생산량(TWh.조Wh)중국 9,456미국 4,494인도 1,958세계 8위(618)
원자력 발전(TWh.조Wh)미국 816중국 435프랑스 338세계 5위(180)
*자료 : EI 등 참고

2. 1차 에너지

세계 1차 에너지* 소비는 ‘22년 607 EJ(*)에서 ’23년 620 EJ(*) [y/y +2.0%]로 상승했습니다.  
*EJ : exajoules(1018J)
*1차 에너지: 석탄, 석유, 천연가스(cf. 우리나라는 LNG), 원자력, 수력, 재생에너지 등

‘23년 1차 에너지 소비량은 역대 최대 수준으로 전년대비 증가율은 2.0%입니다. 이는 최근 10년(‘13년~’23년) 연평균 증가율 1.4%을 웃도는 수준인데요.

2023년 전세계 연료별 1차 에너지 믹스(1018J, %)

석유천연가스석탄원자력E수력재생E합계
소비196144164254051620
Mix(점유율)31.7%23.3%26.5%4.0%6.4%8.2%100.0%
점유율(y/y)+0.2%-0.5%-0.1%-0.3%+0.7%

1차 에너지별 증가율을 보면, 재생에너지에서 석유 순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증가율은 소폭입니다. 석탄이 1차 에너지에서 차지하는 점유율(26.5%)은 ‘03년 이후로 최저치를 기록했죠. 주요 국가별 1차 에너지 증감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이 세계 1차 에너지 증가분의 85.4%[y/y,+6.1%] 차지, 그 뒤를 인도가 차지(증가분의 21.5%)[y//y, +6.8%]했습니다.  반면, 감소국(y/y)은 미국(-1.2%), 독일(-7.7%), 일본(-3.5%), 한국(-2.6%)입니다.

대륙별 1차 에너지 증감 현황을 확인했을 때 아시아, 중동, 증남미는 증가했고, 다른 곳은 감소했는데요. 한국의 1차 에너지 소비 규모는 12.43 1018J로 세계 9위입니다.

추가 분석1. 한국의 1차 에너지 믹스(1018J ,%) E : Energy

추가 분석2. 한국·중국·일본의 1차 에너지 믹스 비교(%) E : Energy

석유천연가스석탄원자력E수력발전재생E합계
한국43.1%17.4%21.7%13.0%0.3%4.5%100.0%
중국19.2%8.5%53.8%2.3%6.7%9.4%100.0%
일본38.2%19.1%26.1%4.0%4.0%8.6%100.0%
전세계31.7%23.3%26.5%4.0%6.4%8.2%100.0%

※ 본 글은 대한석유협회의 <세계 에너지 통계 분석 및 한국의 에너지 부문 내 국제적 위상>보고서를 요약한 것입니다.

※ 본 글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기업이나 개인의 개별 사안에 대한 조언을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 법인의 전문가와 상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본 글은 GS칼텍스와 대한석유협회의 사전 동의 없이 전체 또는 일부를 무단 배포, 인용, 발간, 복제할 수 없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IEA] 2029년 세계 석유 수요 정점…글로벌 석유 수급 현황 및 중기 전망 | TH 1 IEA

2024-09-27

[IEA] 2029년 세계 석유 수요 정점…글로벌 석유 수급 현황 및 중기 전망

IEA(국제에너지기구, International Energy Agency)가 2030년까지 석유 공급이 수요를 초과해 800만b/d 과잉 공급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OPEC+ 산유국을 중심으로 석유 생산이 증가하지만 전기차 확산, 청정에너지 확대, 중국 경제 둔화로 석유 수요는 2029년 정점을 찍고 감소할 전망입니다. 특히, 도전적인 에너지 정책을 시도했던 선진국의 석유 수요가 감소될 예정이며, 중동 국가는 재생에너지원 이용을 대폭적으로 증가시키며 전력 사용을 위한 석유 연료 수요가 감소할 보이는데요. 에너지 전환 시대, 급변하는 석유 시장의 흐름을 확인하기 위해 GS칼텍스가 IEA의 ‘2030년까지 세계 석유 시장 분석과 전망’을 정리했습니다.

[글로벌레포트] WEF에서 분석한 글로벌 에너지 전환 현황과 직면 과제 | img 1 2

2024-09-27

[글로벌레포트] WEF에서 분석한 글로벌 에너지 전환 현황과 직면 과제

WEF(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가 올해 6월 세계 120개국의 에너지 시스템 현황을 평가한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 촉진(Fostering Effective Energy Transition: insight report) 2024’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GS칼텍스가 에너지 전환 지수(Energy Transition Index, ETI)를 중심으로 세계경제포럼의 보고서 내용을 소개합니다.

[OPEC] 2024년 하반기 세계 석유 시장 트렌드 살펴보기 | img 2 6

2024-08-12

[OPEC] 2024년 하반기 세계 석유 시장 트렌드 살펴보기

지속되는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기와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의 대선, 그리고 에너지 전환의 가속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석유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에 대한 예측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유가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하반기, 세계 석유 시장은 2023년 대비 석유 수요와 공급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본 글에서는 OPEC 월간 보고서를 바탕으로 상반기 석유 시장 현황을 분석하고, 하반기 석유 수요∙공급 시장 동향을 주요국가 중심으로 살펴봤습니다.

[에너지칼럼] 대한민국 석유산업의 현재와 미래 : 국가 성장 동력에서 글로벌 수출 선도산업으로 | TH F

2024-08-27

[에너지칼럼] 대한민국 석유산업의 현재와 미래 : 국가 성장 동력에서 글로벌 수출 선도산업으로

자원 빈국인 대한민국의 석유산업이 세계 정상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정제능력이 세계 5위, 석유소비가 세계 7위를 차지하고 있음은 우리나라 석유산업의 위상과 중요성을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한국의 석유산업이 오늘날의 경쟁력을 갖추게 된 것은 국내 정유사들이 세계적 규모의 정제시설을 구축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뿐 아니라 일찍부터 수출을 염두에 둔 설비 및 물류 환경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국내 정유사들은 내수시장이 한정된 상황에서 성장동력의 돌파구를 확보하기 위해 수출시장에 주력해 왔다. 휘발유, 경유, 항공유, 윤활유 등 석유제품의 수출량은 국내 생산량의 4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석유제품은 우리나라 연간 품목별 수출 순위 2~5위를 유지하고 있다. 미래의 석유산업은 여러가지 도전요인에 직면해 있으나 여전히 우리나라 산업의 중추 역할을 지속할 것이다.

[한국석유공사] 하늘길도 탈탄소, 지속 가능 항공유(SAF)로 친환경 이륙! | img 1 3

2024-08-27

[한국석유공사] 하늘길도 탈탄소, 지속 가능 항공유(SAF)로 친환경 이륙!

항공 분야는 탄소중립 진행이 가장 느린 분야 중 하나이다. 바이오연료인 지속가능 항공유(SAF)로 화석연료를 대체하려 하지만 타 분야 대비 뒤쳐져 있다. 많은 산업이 그러하듯 지속가능 항공유(SAF)도 정부의 정책 지원을 통한 규모 확대가 산업이 개화하는 시기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지속가능 항공유가 무엇이고 항공 분야 탄소중립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정부에서 지속가능 항공유(SAF) 사용 확대를 위해 어떤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는지 알아보자.

[딜로이트 글로벌 레포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제조 기업의 성과를 개선하는 ‘디지털 성숙도’ | TH D

2024-08-27

[딜로이트 글로벌 레포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제조 기업의 성과를 개선하는 ‘디지털 성숙도’

‘디지털 성숙도’는 어떻게 결정될까? 디지털 성숙도 지수(Digital Maturity Index, 이하 DMI)는 딜로이트와 독일 뒤스부르크-에센 대학교가 공동 개발한 지표로, 기업이 추구하는 디지털 전환의 출발점과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기업 전략(Strategic Index)과 실행/운영 […]

[글로벌레포트] WEF가 주목한 2024년 글로벌 혁신을 이끌 10대 신흥 기술 | TH 1

2024-07-23

[글로벌레포트] WEF가 주목한 2024년 글로벌 혁신을 이끌 10대 신흥 기술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이 지난 6월 제15회 하계 다보스포럼에서 ‘2024년 10대 신흥 기술(Top 10 Emerging Technologies of 2024)’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WEF의 글로벌 미래 협의회와 대학 및 연구 네트워크 등 2,000명 이상의 학자와 전문가가 참여해 향후 3-5년 간 세계를 변화시킬 신흥 기술 10가지를 선정했는데요. 과학적 발견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할 AI부터 의료 분야에 큰 진전을 가져올 이식을 위한 유전체학까지, 세계경제포럼(WEF)의 '2024년 10대 신흥 기술 보고서'를 GS칼텍스에서 정리했습니다.

전 세계 산유국 매장량 & 생산량 TOP10 | TH 1 1

2024-06-26

전 세계 산유국 매장량 & 생산량 TOP10

일반적으로 산유국 중 석유 매장량이 많은 국가를 중동 지역의 사우디아라비아로 예상하는 사람이 많을 텐데요. 실제 세계 산유국 중 매장량 기준 TOP10 과 일일 석유 생산량 기준 TOP10 국가를 GS칼텍스에서 정리했습니다. 전세계 산유국의 매장량과 일일 생산량, 주요 산유 지역까지 인포그래픽으로 한눈에 알아볼까요?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