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Xtionary : DX 용어백과 (1) DX 기본 용어들을 알아보자!

Contents_function_share_hover_P
DXtionary : DX 용어 백과사전 (1) DX 기본 용어들을 알아보자!
우리는 모든 것이 디지털(All things Digital)이며, 디지털이라는 말이 너무 당연한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디지털 기술을 사회 전반에 적용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혁신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조직문화, 업무 프로세스, 커뮤니케이션 방식 등 근본적인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전략입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우리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이며, 우리는 그것을 DX라고 부릅니다.

DX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잘 알고 제대로 이해하고 있을까요? DX라는 명사는 많이 들어봤지만, 막상 DX 용어의 뜻은 생소하진 않은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의 일상에 한걸음 가까워진 DX를 제대로 체화하기 위해 DX의 개념과 기본 용어들을 시리즈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DXtionary : DX 용어 백과사전 (1) DX 기본 용어들을 알아보자!

DX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용어들을 알아보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1) 정의

기업에서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솔루션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플랫폼으로 구축·활용하여 기존 전통적인 운영 방식과 서비스 등을 혁신하는 것

 


 

2) 관련 글

급변하는 외부 환경과 더불어 끊임없이 등장하는 새로운 기술은 시장 환경과 고객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GS칼텍스는 이러한 ‘변화하는 미래 환경에 빠르게 대응하고 고객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우리의 서비스 / 일하는 방식 / 의사결정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DX(Digital Transformation)’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GS칼텍스가 떠난 DX로의 여정(Journey)

전산화(Digitization)

1) 정의

아날로그 형식의 정보와 문서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 1970년대 PC의 도입으로 주목을 받았으며 1990년대부터 본격적인 전산화가 시작되었다. 문자, 사진, 영상, 음성 등의 처리와 전송이 가능하다.

 


 

2) 관련 글

인터넷에 있는 정보의 홍수 속 많은 글에서 Digital Transition과 Digital Transformation이 모두 디지털 ‘전환’으로 변역되곤 한다. 엄밀히 말하면 이 두 단어는 사실 조금 다르다. 먼저, Digital Transition은 단순히 아날로그형태를 디지털형태로 전환하는 (Digitization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개념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전환

디지털화(Digitalization)

1) 정의

산업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기술을 기존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통합하는 것

 


 

2) 관련 글

디지털 경제 시대의 핵심 자원은 데이터다. 코로나19는 개인 데이터의 중요성을 확연히 드러냈다. 특히, 개인이 보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작은 행동 데이터에 근거해 개개인이 정량화, 입체화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나의 건강 데이터까지 더해지면서 디지털화된 또 다른 내가 만들어진 셈이다. 디지털 자아(Digital Self)의 탄생이다. 한편, 개인 데이터 ‘활용’에 무게를 두면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적 해법들(Privacy-Preserving Tech)이 등장하고 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코로나 이후 글로벌 트렌드 – 완전한 디지털 사회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1) 정의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에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로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취득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효과적인 운영과 예측을 가능하게 해주는 획기적 시스템

 


 

2) 관련 글

디지털 트윈의 정의는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에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인데요. 쉽게 한 단어로 표현하자면 디지털 가상 모델 시뮬레이터라고 요약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2010년 NASA에서 우주선의 물리 모델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되며 그 이름이 알려진 ‘디지털 트윈’은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디지털 대전환 열풍과 함께 유명해진 기술입니다. 세상에 나온 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그 무한한 가능성으로 인공지능(AI), 5G 등과 함께 세상을 바꿀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죠.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가상 현실 속 쌍둥이! ‘디지털 트윈’의 무한한 가능성

디지털 스레드(Digital Thread)

1) 정의

전통적으로 기능적인 관점에서 제품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자산의 데이터에 연결된 데이터 흐름과 통합된 관점을 볼 수 있는 통신 프레임워크. 기업은 이를 통해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모든 단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2) 관련 글

보잉이 선보이는 또 하나의 DX는 다름아닌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온라인 DX’입니다. 보잉은 차기 새 항공기의 제조 과정 및 실제 운행을 테스트하기 위해 가상 공간, 즉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하고 있는데요. 제트기와 생산 시스템의 가상 3차원인 ‘디지털 트윈(Digital Twin)’를 만들고, 모든 디지털 트윈의 기능을 연결하기 위한 디지털 스레드(Digital Thread)를 활용하여 설계부터 유지까지 제조업 전 과정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온·오프라인을 통합하는 최근 제조업의 DX 혁신 트렌드

빅데이터(Big Data)

1) 정의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의 능력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 또는 심지어 데이터베이스 형태가 아닌 비정형의 데이터 집합조차 포함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

 


 

2) 관련 글

기술에 대해 가장 권위 있게 얘기하는 가트너의 이야기를 빌려서 살펴보자. 가트너는 매년 12월에 내년도 10대 기술을 발표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무엇일까? 메타버스, 자율주행, NFT, ChatGPT? 가트너에 서 가장 중요하게 이야기하고 있는 기술은 바로 데이터다. 2010년부터 각광받는 기술로 트렌드를 살펴보면 고급 분석, 차세대 분석, 빅데이터 실용 분석, 전략적 빅데이터로 불리다가 2014년에 스마트 머신, 머신러닝, 고급 머신러닝, 딥러닝으로 발전하여 부른다. 그리고 2018년에 인공지능 키워드가 등장한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새로운 기술의 등장, 데이터로 새롭게 일할 준비가 필요하다

전사적 자원 관리(ERP)

1) 정의

재무, 인사 관리, 제조, 공급망, 서비스, 조달 등 비즈니스의 여러 부문에서 자동화와 프로세스를 지원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도록 돕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2) 관련 글

사실 시대를 막론하고 혁신은 모든 기업의 주된 관심사였습니다. 그러나 혁신을 위한 전략은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식스시그마나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은 물론 ERP(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전사적 자원 관리), CRM(Customer Relatio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와 같은 IT 역량 도입이 크게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런 전략들이 경영 환경 변화로 진부하게 느껴지면서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이나 트리즈(TRIZ) 등 새로운 전략이 관심을 끌었습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혁신을 만드는 원칙 – 작은 것부터 개선하라

머신러닝(Machine Leaning)

1) 정의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또는 성능 향상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인공 지능(AI)의 하위 집합

 


 

2) 관련 글

AI는 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랍니다. AI의 기술 중 대표적인 것이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인데요. 어떻게 해야할지 상세한 규칙을 프로그램 하지 않아도 데이터를 활용해 스스로 학습, 그 패턴을 배우고 다음에 일어날 일을 예측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합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에 대한 모든 것

사물 인터넷(IoT)

1) 정의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다른 기기 및 시스템과 연결 및 교환할 목적으로 센서, 소프트웨어, 기타 기술을 내장한 물리적 객체(사물)의 네트워크

 


 

2) 관련 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본격적으로 들어서면서 석유화학 산업에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등의 기술은 제품 생산 효율 향상, 공정 최적화, 제품 품질 관리 및 안전사고 예방 등에 활용되고 있다. 석유화학 산업은 다양한 제품의 중간재를 생산하는 기반산업이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전방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에너지학개론] 제 29강. 석유화학 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만남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1) 정의

사람이 반복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단순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로 자동화하는 기술

 


 

2) 관련 글

Digital Academy의 교육 과정은 학습자의 역할과 각자 필요한 역량의 수준을 반영하여 크게 2가지로 나눠집니다. DT(Digital Translator) 과정과 CDS(Citizen Data Scientist)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Digital Translator 과정에서는 디지털 전문가와 소통하며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Low-Code를 활용하여 앱,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대시보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GS칼텍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살펴보기 (3) 디지털 역량 강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1) 정의

사용자의 직접적인 활발한 관리 없이 특히, 데이터 스토리지와 컴퓨팅 파워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를 필요시 바로 제공하는 것

 


 

2) 관련 글

플랫폼은 데이터를 서비스화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클라우드는 중앙 집중형 컴퓨팅 플랫폼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개념은 단순합니다. 한 곳에 데이터를 모아서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인공지능(AI)은 클라우드 내에 있는 데이터를 분석해서 의미 있는 결과를 추출해냅니다. 블록체인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부여해 탈중화 할 수 있게 합니다. 엣지 컴퓨팅은 클라우드의 약점을 보완하여 서비스의 약점을 극복하게 합니다. 따라서 클라우드와 엣지 컴퓨팅이 동시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하이브리드 컴퓨팅이라고 표현합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혁신하라

소프트웨어 봇(Software Bot)

아마존의 Alexa, Microsoft의 Cortana, Apple의 Siri와 같이 특정 액션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1) 정의

안경,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컴퓨터

 


 

2) 관련 글

두번째는 라이프 로깅(Life-logging) 서비스이다. 현실에서 움직이고 살아가는 다양한 정보가 가상과 연동된 서비스로, 스마트 시계를 차고 운동하면 현실에서 움직인 거리와 동선, 운동량 등 다양한 정보가 가상에 체계적으로 분석되는 웨어러블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이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메타버스 비긴즈(BEGINS) : 새로운 혁명의 시작

뉴 노멀(New Normal)

1) 정의

2008년 세계금융 위기 이후 나타난 새로운 경제 질서를 지칭하는 용어. 코로나 이후에는 ‘새로운 표준’을 뜻하는 용어로 지칭되고 있다.

 


 

2) 관련 글

저성장이 뉴 노멀(New Normal)이 된 이 시대에 우리는 더 이상 강렬한 성과를 기대하며 현재를 희생하기 힘이 듭니다. 나와 동료의 행복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때입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행복한 일터를 위한 마인드 셋

초자동화(Hyperautomation)

고도화된 자동화를 뜻하며 점점 더 많은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인간을 증강하는 데 첨단 기술,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것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모든 것을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소통하는 사회

인터넷 거버넌스(Internet governance)

정부, 민간, 시민 사회가 맡은 역할을 통해 인터넷의 발전 및 이용과 관련하여 원칙, 규범, 규칙, 의사결정 절차를 공유하며 인터넷을 발전시키고 활용하는 것

디제라티(digerati)

디제라티란 디지털(digital) + 리터라티(literati:지식인)의 합성어로, 정보사회를 이끌어가는 신흥 지식인 계층을 뜻한다. 소위 디지털 지식인으로 불리우며,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지배 계층으로 통한다.

블록체인(Blockchain)

1) 정의

시스템을 변경, 해킹 또는 속이는 것을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만드는 탈중앙화 방식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시스템으로, 비즈니스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고급 데이터베이스 메커니즘입니다.

 


 

2) 관련 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다양한 가상화폐에 대한 기사가 쏟아져 나오면서 가상화폐를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죠. 그러나 가상화폐보다 우리는 가상화폐의 근간이 된 기술에 주목해야 합니다. 그 기술은 우리의 미래를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바꿀지도 모를 새로운 보안기술, ‘블록체인’입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가상화폐보다 블록체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

성장(growth) + 해킹(hacking)이 결합된 단어로 고객의 반응에 따라 제품 및 서비스를 수정해 제품과 시장의 궁합(Product-Market Fit)을 높이는 것. 빠른 분석실험을 통해 객관적인 시장의 피드백을 받고, 이를 토대로 서비스 및 제품의 질을 향상해나가는 실험 방법이다.

챗봇(Chatbot)

1) 정의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와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 처리)를 이용하여 인간의 대화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고객의 질문을 이해하고 자동으로 응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 관련 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타인과의 연결, 접촉을 중시하기보다는 자신만의 시간을 가지는 것을 좋아하고 이를 소비하는 세대입니다.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문의 시 챗봇을 이용하며, 대면보다는 키오스크를 통한 주문을 선호하는데요. 대학가에서는 바리스타 대신 로봇 바리스타가 있는 카페나, 무인 스터디 카페 등이 인기를 얻기도 하였습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생활 속 에너지] 디지털 네이티브 시대, 디지털 라이프 살펴보기

혼합현실(MR : Mixed Reality)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합쳐서 새로운 환경이나 시각화등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

1) 정의

홀로그램 기술을 통해 디지털 시각 요소, 소리, 기타 감각 자극을 통해 얻어지는 실제 환경의 향상된 대화형 버전

 


 

2) 관련 글

GS칼텍스는 지난해 1월 열린 CES 2021에 참가해 미래형 주유소 영상을 출품하면서 주유소가 드론 배송 및 UAM 거점으로 활용되는 모습을 구현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10월 열린 두바이엑스포의 한국관 증강현실(AR) 콘텐츠에서 수소충전소가 UAM 거점으로 활용되는 미래 도시 모습을 구현하기도 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GS칼텍스, 주유소 거점 UAM 사업 나선다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

1) 정의

컴퓨터 시스템 등을 사용해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 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

 


 

2) 관련 글

실제 경험을 대신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술은 다른 어느 분야보다도 안전교육에서 필요합니다. 가상현실을 이용하면 더욱 생생하게 공정 내 안전체험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전교육 절차를 직접 현실에서 구현하기에는 큰 비용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가상현실 안전교육은 모듈 구축을 통해 반복적으로 안전교육을 시행할 수 있기에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재나 감전과 같은 사고를 실제로 재현하기에는 위험성이 따르지만, 가상현실 속에서는 생생하게 체험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몸소 느낄 수 있습니다. 단지 교재와 이론으로만 진행되던 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죠.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안전교육? 우리는 가상현실(VR)로 한다!

확장현실(XR : Extended Reality)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을 모두 포함하는 몰입형 기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중 하나이자. 메타버스를 만드는 핵심 기술로도 알려져 있다.

인더스트리 5.0

1) 정의

2011년 독일에서 탄생한 인더스트리 4.0을 기초한 개념으로, 디지털 산업 혁명에 대한 상호 보완적인 접근법으로써 효율성과 생산성을 목표로 하는 산업 비전을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노동자의 복지를 생산 과정의 중심에 두고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일자리와 성장의 번영을 제공하겠다는 개념

 


 

2) 관련 글

인더스트리 5.0은 디지털 전환에 있어 인간 중심, 지속가능성, 탄력성을 핵심요소로 하는 진보된 개념입니다. 기존의 디지털 전환에서 나아가 노동자의 기본권, 산업 안전, 자원 효율성의 최적화, 위기 상황과 같은 여러 분야들을 고려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자 하고자 함이 인더스트리 5.0의 핵심 골자인데요. 독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통해 단순 DX가 아닌 사회 혁신을 동시에 추진하는 새로운 개념의 DX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한 눈으로 확인하는 DX 국내외 추진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 린(Lean) 경영

1) 정의

일본 자동차 회사 도요타의 린(Lean) 제조 방식을 경영에 적용한 것으로, 제품이나 시장을 발달시키기 위해 기업가들이 사용하는 프로세스 모음 중 하나이다. 낭비 없이 지속적인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과, 고객 개발(Customer Development), 그리고 기존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주로 오픈소스) 등을 활용한다.

 


 

2) 관련 글

린 스타트업은 실리콘밸리 벤처 기업가 출신 에릭 리스(Eric Ries)가 창업 경험을 바탕으로 벤처 기업의 창업을 위해 고안한 경영 전략입니다. 그는 자본과 기술이 부족한 벤처 기업이 실패의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혁신을 추진하는 개념이 도요타(Toyota)의 린 경영(Lean Management)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여 전략의 이름을 ‘린스타트업’이라고 지었습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혁신을 만드는 원칙 – 작은 것부터 개선하라

애자일(Agile) 개발

1) 정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하나로, 처음부터 끝까지 계획을 수립하고 개발하는 폭포수(Waterfall) 방법론과는 달리 개발과 함께 즉시 피드백을 받아서 유동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이다. 유연한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한 방법론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관련 글

애자일이라는 개념이 처음부터 경영이나 조직 문화와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었는데요. 애자일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론 중 하나에서 탄생했습니다.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인 ‘워터폴(Waterfall) 방식’에 대해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반발하는 사건이 계기가 되어, 해당 방식의 대안책으로 개발된 것이 바로 애자일 프로세스(Agile Process)였습니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조직문화를 바꾸는 강력한 힘, 애자일(Agile)에 대하여

ISP(Information Strategy Plan)

정보계획수립 방법론 또는 정보화전략계획. 조직의 전략 또는 방향을 정의하고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결정을 내리는 조직의 프로세스.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사업활동을 영위하는 조직의 측면에 있어 작업을 개선하고 자원의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하나의 목적으로 처음부터 다시 근본적인 변화를 만든다는 의미로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정의되었다.

스마트시티(Smart City)

1) 정의

사물 연결을 이용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해 자산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시. 다양한 유형의 전자 데이터 수집 센서를 사용하여 자산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2) 관련 글

한편, GS칼텍스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제주도와 함께 참여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은 지자체와 민간기업 등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활용해 도시 스마트화를 위한 종합적인 솔루션을 구현하기 위해 신사업을 육성∙지원하는 사업이다.

 

🔗 나머지 내용도 궁금하다면? ▶️ GS칼텍스,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에 미래형 주유소 선보인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