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2025년 6•7월 뉴스브리핑

GS칼텍스 -

GS칼텍스, 온실가스 감축과 바이오원료 한 번에 잡는다

GS칼텍스가 기획재정부와 한국수출입은행의 ‘2025년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본 타당성조사 지원사업’ 과제 업체로 선정되어, 인도네시아 팜유공장에서 발생하는 팜폐수 처리 문제 해결에 나선다.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팜유 생산 및 수출 1위 국가로, 인도네시아의 팜폐수 처리 문제는 글로벌 이슈다. 팜폐수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메탄(CH4)이 대기로 방출되는데, IPCC에 따르면, 메탄의 GWP는 이산화탄소보다 28배나 높다.

GS칼텍스는 인도네시아 최초로 팜폐수 증발 농축 처리시설을 도입해 메탄 발생을 감축하고, 팜폐수를 재활용해 지속가능항공유(SAF) 등 바이오연료로 활용할 수 있는 팜폐유를 회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설비 1기당 연간 12만tCO2eq 이상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며 양국의 NDC 목표 달성을 기대하고 있다.

팜폐수 처리


GS칼텍스,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시장 확대 나선다

GS칼텍스가 LG유플러스의 데이터센터에 액침냉각유를 공급하며, AI 서버 운영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실증하기 위한 협력을 시작했다. LG유플러스에 공급하는 GS칼텍스 액침냉각유 제품인 ‘Kixx Immersion Fluid S 30’은 발열량이 증가한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높은 사용 안정성을 충족하며, 인체와 환경에 친화적이다.

GS칼텍스는 2023년 국내 최초 액침냉각유 출시 이후 국내외 데이터센터뿐만 아니라 전기차 배터리, ESS 등으로 제품군을 확대했으며, 각 산업 분야의 기업들과도 협력하며 액침냉각유 공급 및 실증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시장 확대


GS칼텍스, 국가고객만족도(NCSI) 주유소부문 17년 연속 1위 선정

GS칼텍스가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 주유소 부문에서 17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2021년 출시한 ‘에너지플러스 앱’의 ‘바로주유’ 서비스를 비롯해 올해 새롭게 추가한 자동차 디스플레이를 통한 바로주유 ‘Car Play’, 스마트폰 흔들기로 바로주유를 빠르게 실행하는 ‘Shake & Pay’ 등 신규 기능을 통해 고객의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경청하고 신속히 반영하여 고객들에게 새로운 주유 경험과 혜택을 제공해 온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다.

올해 하반기에는 셀프 주유소에서 더 쉽고 간편한 주유가 가능한 All-in-one 셀프 주유기 결제 단말기를 개발해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편의를 더 강화할 계획이다. GS칼텍스는 앞으로도 고객의 에너지 소비 패턴과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맞춰 혁신적인 주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발굴하고 개선할 계획이다.

에너지플러스 앱의 Car Play 및 Android Auto 실행 이미지


GS칼텍스, 사내 생성형 AI 통합 플랫폼 ‘AIU’ 도입

GS칼텍스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사내 생성형 AI 통합 플랫폼 ‘AIU’를 도입하며, AI를 활용한 새로운 일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을 추진한다. AIU는 AI와 油(기름 유)를 합친 단어로, 전통적인 정유 산업에 AI 기술을 접목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 방향성을 상징적으로 담은 이름이다.

AIU는 임직원들이 회사 데이터와 전문 지식을 보안 걱정이 없이 다양한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AIU는 생성형 AI 기술과 회사 내부 데이터를 결합해 손쉽게 AI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게 설계되어, 전문 개발자가 한 달에 걸쳐 만들던 앱을 임직원들이 일주일 이내에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GS칼텍스는 생성형 AI기술을 업무 전반에 적극 도입해 AI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임직원들이 더 창의적이고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사내 생성형 AI 통합 플랫폼 AIU 도입


GS칼텍스, 2024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GS칼텍스가 ESG 분야 성과를 담은 ‘2024년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 발간된 이번 보고서에는 GS칼텍스가 ‘지속가능하고 수익성 있는 성장’이라는 목표 아래 Green Transformation 로드맵에 따라 추진하는 탄소 저감 사업과 저탄소 신사업 등 주요 핵심 성과가 담겨있다.

GS칼텍스는 ‘Lower Carbon Refining & Chemical Complex’(저탄소 정유 & 화학 산업단지)로 거듭나고자 자가발전 확대, 무탄소 스팀 도입, 그리고 재생에너지 활용 등 에너지 사용의 구조적 변화를 실천하고 있다. 2024년 전국 주요 사업장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가동하고 있으며, 100MW 이상 규모의 재생에너지 직접 도입을 계획하여, 연간 수만 톤의 탄소 감축과 장기적으로 전력 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추가로, 금번 보고서는 ESG 공시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GS칼텍스가 새롭게 도입한 ESG 공시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였다. 기존 시스템과 연계하여 데이터 정합성을 제고하였고, 글로벌 ESG 공시 가이드라인을 고려하여 설계함으로써 향후 국내 ESG 공시 제도 도입 시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한편, GS칼텍스는 2021년부터 환경보호 일환으로 인쇄물 대신 Interactive PDF(인터랙티브 PDF) 형태의 디지털 리포트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제작하고 있으며, 독자 편의성을 위해 보고서 내외〮부 페이지로의 이동을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2024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GS칼텍스, ‘희망에너지교실’ 통해 지역 아동 대상 문화 예술 교육에 앞장선다

지난 20일, GS칼텍스는 전남 여수시 GS칼텍스 예울마루에서 ‘2025년 GS칼텍스 희망에너지 교실’ 발대식을 개최하고, 올 여름 지역아동들을 위한 특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본격적인 운영을 알렸다.

올해 희망에너지교실에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무용단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와 협업하여 ‘앰비규어스와 함께하는 <몸에서 춤으로!>’라는 창의적인 신체 표현 예술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희망에너지교실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교육에 참여한 아동들은 GS칼텍스 여수공장 견학과 예울마루 전시 관람을 통해 지역의 주요 사업현장을 체험하고 예술적 시야를 넓히게 되는 시간도 가지게 된다.

희망에너지교실은 GS칼텍스가 미래 세대의 주역으로 성장할 여수 지역 아동들의 꿈과 희망을 키워주기 위하여 2010년부터 매년 여수시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지금까지 누적 인원 5,740여 명의 아동이 참여했으며, 2023년부터는 GS칼텍스 예울마루와 연계하여 문화예술 특화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다.

GS칼텍스 희망에너지교실

함께 보면 좋은 글

POME-treatment-process_thumb.kor.jpg

2025-06-24

GS칼텍스, 온실가스 감축과 바이오원료 한 번에 잡는다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가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에 위치한 팜유공장에서 발생하는 팜폐수(Palm Oil Mill Effluent, POME)를 재활용해 바이오원료를 확보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한다.

A GS Caltex employee tests immersion cooling fluid at the LG Uplus data center.

2025-06-26

GS칼텍스,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시장 확대 나선다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가 LG유플러스에 액침냉각유를 공급하며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사업 확대에 본격 나선다.

에너지플러스 앱의 Car Play 및 Android Auto 실행 이미지

2025-07-07

GS칼텍스, 국가고객만족도(NCSI) 주유소부문 17년 연속 1위 선정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가 한국생산성본부 주관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에서 주유소부문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GS칼텍스 생성형 AI 플랫폼 'AIU'의 주요 기능

2025-07-08

GS칼텍스, 사내 생성형 AI 통합 플랫폼 ‘AIU’ 도입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사내 생성형 인공지능(AI) 통합 플랫폼 ‘AIU’를 오픈했다고 8일 밝혔다.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2025-07-10

GS칼텍스, 2024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가 지난 1년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 성과를 담은 ‘2024년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