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이야기
[에너지식백과] 지상유전, 석유의 고도화 공정이란?
2019-12-06
석유 한방울 안나는 나라에서 전 세계에 석유 제품을 수출할 수 있는 이유! 바로 고도화 기술에 대해 과학커뮤니케이터 과학쿠키와 함께 영상으로 알아봅니다.
[에너지학개론] 제20강. 2000년대 이후 국제 석유 시장의 주요 변화는?
2019-10-28
2000년대 중반 이후 지난 15년간 국제 석유 시장은 과거의 1980년대, 1990년대와는 구별되는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석유시장이 근본적으로 아래 설명과 같이 변화하였기 때문에 앞으로도 변동성 이슈는 국제 석유 시장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이와 관련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에너지학개론] 제17강. 세계 석유 거래, 재고, 수송 : 세계 산업과 경제를 살아 움직이게 하는 석유
2019-07-18
석유는 인체의 혈액에 비유될 만큼 우리의 일상생활과 산업의 유기적 흐름에 생명선 역할을 한다. 세계경제에 큰 충격을 주었던 1, 2차 오일쇼크(석유파동)도 재고가 없는 상황에서 거래와 수송이 제한되며 핵심원료인 석유가 부족해졌기에 발생한 결과였다. 전 세계의 산업과 경제를 살아 움직이게 하는 석유의 흐름을 이번 전문가가 전해주는 석유이야기를 통해 구체적 수치와 함께 알아보자.
[에너지식백과] 우리나라 석유산업, 그 140년의 역사
2019-04-19
일제강점기, 제1, 2차 세계대전, 6∙25전쟁과 같은 격동의 역사 속에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온 우리나라 석유산업은 근대화 속에서 국가와 함께 성장하였습니다. 현재는 반도체, 일반기계 제품에 이어 석유화학 및 석유제품이 수출액 상위 3위와 4위에 올라있을 정도로 세계적인 정유산업국이 되었죠. 그 이야기를 영상을 통해 쉽게 만나보세요!
[에너지학개론] 제14강. 세계 석유수요 현황 : 석유는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고 있나?
2019-04-11
가장 최근에 발표된 BP 에너지 통계에 의하면, 평균적으로 하루에 원유는 9,260만 배럴, 천연가스는 3.68조 입방미터 생산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많은 양이 어디서 사용되었을까요? 에너지학개론을 통해 구체적 수치와 더불어 알아봅니다.
[에너지학개론] 제7강. 석유 산업의 하류 부문은 어떤 일을 할까?
2018-10-19
석유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상류부문과 운송하는 중류부문을 거쳐 마지막 단계인 정유공장에 도착하여 정제 후 우리 일상에 유용한 휘발유와 같은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부문을 하류부문(Downstream)이라고 부른다.
[에너지식백과] 우리나라가 미국 원유 수입량을 늘려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2018-09-18
대한민국 원유 수입량 중 80%가 중동산이라는 것 아셨나요? 중동을 넘어 새로운 원유를 찾아나선 정유사의 노력을 살펴봅니다.
[에너지학개론] 제6강.석유 산업의 중류 부문은 무슨 일을 할까?
2018-09-17
석유 산업의 중류 부문(Midstream)에서 이루어지는 석유의 운반, 저장에 대해 알아봅니다.
[에너지학개론] 제5강. 석유 산업의 상류 부문은 무엇을 할까?
2018-08-30
석유 산업의 상류 부문(upstream)에서 이루어지는 석유 탐사, 개발, 생산에 대해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