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뉴스레터 34. [에너지전환과 자원안보, 어떻게 달성할까?👀] | 2202 newsletter 02 1

GS칼텍스 뉴스레터 34. [에너지전환과 자원안보, 어떻게 달성할까?👀]

2022-02-28

최근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침공과 지속되는 고유가 기조로 ‘자원안보’가 에너지전환과 함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천연 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에너지전환이 본격화되는 4차 산업시대와 불확실성에 커지는 국제 정세 속에서 자원안보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화두가 되고 있는 에너지전환과 자원안보 문제는 물론, 2022년 중동 정세 전망과 GS칼텍스의 친환경 엔진오일 ‘Kixx BIO1’ 출시 소식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기술혁신으로 장영실상 수상! ‘3세대 자동차 선루프 프레임’을 아시나요? | 220222 장영실상 6 1

기술혁신으로 장영실상 수상! ‘3세대 자동차 선루프 프레임’을 아시나요?

2022-02-28

2021년 연말, GS칼텍스와 현대자동차가 함께 개발한 ‘3세대 자동차 선루프(지붕창) 프레임’가 51주차 IR52 장영실상을 받았다는 반가운 소식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3세대 자동차 선루프 프레임은 유리섬유를 적용해 기존 프레임에 비해 무게와 가격을 대폭 낮춰 주목을 받았는데요, 그 기술력의 주인공인 복합수지기술개발팀의 이형탁 책임을 만나고 왔습니다. 살짝 어색하시는 주인공을 서하규 팀장님이 함께 응원해 주셨는데요, 3세대 자동차 선루프가 만들어진 숨은 이야기를 함께 보시죠!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 그리고 자원안보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 그리고 자원안보

2022-02-25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조화롭고 질서 있는 에너지전환이 필요한 때,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 측면에서 살펴보았습니다.

100년만의 대전환: 포스트-코로나 경영 패러다임

100년만의 대전환: 포스트-코로나 경영 패러다임

2022-02-24

실천학문인 경영학 전공자로서 필자는 다양한 기업들에 자문을 제공해왔는데, 이 과정에서 각 기업에 제시한 조언은 서로 다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기업마다 사업과 핵심 기술의 성격, 그리고 당면한 환경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최근 필자는 모든 산업에 속한 모든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시급하게 추구해야 할 근본적 변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환경변화가 전세계 모든 기업과 산업들에 영향을 미치는 특별한 변화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혁신기법 채택이나 6시그마 등을 통한 효율성 개선으로는 결코 대응할 수 없고 기업경영의 펀더멘털 자체를 완전히 새롭게 바꾸는 패러다임 전환이 반드시 필요한 특수한 시기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정도의 규모와 범위로 경영환경이 바뀐 것은 100여년 전 대량생산 혁명이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패러다임 전환의 원천이 바로 코로나 팬데믹과 4차 산업혁명의 결합입니다.

GS칼텍스 2022년 2월 뉴스브리핑

GS칼텍스 2022년 2월 뉴스브리핑

2022-02-23

GS칼텍스, 친환경 엔진오일 ‘Kixx BIO1(킥스 바이오원)’ 출시 / GS칼텍스 힐링데이 진행

[에너지식백과] 땅속 깊이 있는 석유를 어떻게 찾아서 뽑아낼까? | 20220218 01 00 F

[에너지식백과] 땅속 깊이 있는 석유를 어떻게 찾아서 뽑아낼까?

2022-02-18

이 시대의 올라운더 석유! 이 석유를 땅속에서 얻는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는데요. 수천 미터 깊이에 있는 석유를 도대체 어떻게 찾아내고, 또 뽑아서 사용하는 것일까요? GS칼텍스와 함께 알아볼까요?

GS칼텍스, 윤활유에 원료부터 제품 용기까지 친환경 가치 담다

GS칼텍스, 윤활유에 원료부터 제품 용기까지 친환경 가치 담다

2022-02-16

GS칼텍스(대표 허세홍 사장)는 16일 국내 윤활유 브랜드 최초로 원료부터 제품 용기까지 친환경 가치가 담긴 친환경 엔진오일 ‘Kixx BIO1(킥스 바이오원)’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Kixx BIO1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성능은 극대화한 친환경 고성능 합성 엔진오일이다. 이 제품은 바이오 연료 개발 업체인 미국 노비사(Novvi社)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야자, 코코넛, 콩, 유채씨 등 100% 재생가능한 식물 원료로 만든 윤활기유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윤활기유는 엔진오일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원료다.

GS칼텍스 2022년 1월 매거진

GS칼텍스 2022년 1월 매거진, 일상을 넘어 혁신으로

2022-01-28

이달 사보에서는 Deep Transformation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볼 수 있는 코너와 세계 최대 IT쇼인 CES2022의 인사이트를 담은 전문가칼럼, 회사에 새 활력소가 되어 줄 2022년 신입사원들의 이야기 외에도 다양한 회사와 임직원 이야기들이 담겨 있습니다. 함께 만나보시죠!

2022년도 GS칼텍스 신입사원들을 소개합니다!

2022년도 GS칼텍스 신입사원들을 소개합니다!

2022-01-28

2022년 GS칼텍스 신입사원들이 직접 전하는 알찬 자기소개와 입사포부만으로도 풍성한 이야기가 만들어졌습니다. 지금 만나보세요!

GS칼텍스 뉴스레터 33

GS칼텍스 뉴스레터 33. [1분기의 향방이 올 한해를 좌우한다!]

2022-01-28

여전한 재고 부족과 북극 한파로 2022년 유가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을 비롯한 주요 산유국들의 증산 기조와 이란 핵 협상 도출 등에 따라 수급 불균형이 해소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1분기의 유가 향방이 2022년 전반적인 수급 균형 및 가격 형성을 좌우할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어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에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2022년 유가와 석유화학산업의 주요 이슈와 전망을 살펴봅니다.

GS칼텍스 2022년 1월 뉴스브리핑

GS칼텍스 2022년 1월 뉴스브리핑

2022-01-27

2022년 새해 첫 현장경영 / 2022년 신임팀장과정 / 글로벌 공급망 ESG 평가(Ecovadis)에서 Gold Medal 획득

폐플라스틱 문제와 순환경제 구축

폐플라스틱 문제와 순환경제 구축

2022-01-26

플라스틱의 순환을 위해서는 전과정 관리가 중요합니다. 즉, 생산-유통-소비-수거 및 재활용-재생원료 사용 등으로 순환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지금처럼 대량 생산-대량 소비-대량 폐기 등의 선형경제(linear economy)는 지속가능하지 않고,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로 전환하여 플라스틱의 생산되어 소비된 후 다시 순환하는 고리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지요.

메타버스 제페토 미래형 주유소 ‘Energy Plus Hub’ 월드

메타버스 제페토 미래형 주유소 ‘Energy Plus Hub’ 월드

2022-01-26

제페토에 GS칼텍스의 미래형 주유소 ‘Energy Plus Hub’ 월드가 등장한 이후, 최근 인기 크리에이터 월드에 등극에 이르기까지 그 변화의 모습을 함께 확인해보시죠.

‘비욘드X’ 가속화…융합·확장으로 경쟁력 키워야

‘비욘드X’ 가속화…융합·확장으로 경쟁력 키워야

2022-01-26

세계 최대 IT 가전쇼 CES 2022에선 일상을 넘어(Beyond the everyday)라는 행사 주제로 팬데믹의 위험 속에서 대면 전시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CES 2022를 기술 트렌드가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우주 쓰레기를 처리해주는 로켓의 돛, 드래그세일(drag sail)

우주 쓰레기를 처리해주는 로켓의 돛, 드래그세일(drag sail)

2022-01-20

매년 세계 곳곳에서 최소 880만 톤 이상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1분마다 덤프트럭 1대가 실을 수 있는 양의 쓰레기가 바다로 버려진다고 생각하시면 더욱 와닿으실 거예요. 안타깝게도 이 내용은 무려 7년전인 2015년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요. 이러한 추세로 간다면, 머지않은 2030년에는 우리가 막연히 버리는 쓰레기가 연간 5,3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더 미래에는 육지, 바다를 넘어서 저 멀리 우주까지 덮어버리는 건 아닐지 걱정이 됩니다. 그런데 실제로 이미 우주에도 많은 쓰레기가 둥둥 떠다니고 있다고 해요. 오늘은 우주 쓰레기와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는 ‘드래그세일(drag sail)’에 대해 알아볼게요.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