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학개론] 제 29강. 석유화학 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만남
석유화학 산업에 활용되는 사물인터넷( IoT),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등의 기술을 소개합니다.
석유화학 산업에 활용되는 사물인터넷( IoT),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등의 기술을 소개합니다.
석유화학으로 만드는 수지가 있다는데?! 에너지 교양인이 되고 싶다면? 석유 상식, 역사, 전망까지 알려드립니다.
저부가가치의 석유화학 공정부산물을 고부가가치의 제품으로 전환하는 공정이 있다는데! MFC (Mixed feed cracker) 공정에 대해 알아봅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석유수급의 차질에 대비하여 각국이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90일분의 석유를 비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석유공사가 석유비축사업을 관리하고 있는데, 2019년 9월말 기준으로 총 9개의 비축기지를 전국 각처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시설은 약 150백만 배럴 규모의 비축유를 저장할 수 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BP 에너지 통계에 의하면, 평균적으로 하루에 원유는 9,260만 배럴, 천연가스는 3.68조 입방미터 생산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많은 양이 어디서 사용되었을까요? 에너지학개론을 통해 구체적 수치와 더불어 알아봅니다.
일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석유는 대한민국 1차 에너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데요. 석유의 정확한 정의와 그 종류는 무엇인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함께 알아봅니다.
석유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상류부문과 운송하는 중류부문을 거쳐 마지막 단계인 정유공장에 도착하여 정제 후 우리 일상에 유용한 휘발유와 같은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부문을 하류부문(Downstream)이라고 부른다.
석유 산업의 중류 부문(Midstream)에서 이루어지는 석유의 운반, 저장에 대해 알아봅니다.
석유 산업의 상류 부문(upstream)에서 이루어지는 석유 탐사, 개발, 생산에 대해 알아봅니다.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되는 석유 산업의 구조와 각 부문 별 관련 산업에 대해 알아봅니다. 아울러 석유 산업의 구조를 통해 왜 사람들이 유가 변동에 귀추를 주목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