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 처리되고 있는 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현황, 이대로 괜찮을까?

GS칼텍스 -

플라스틱은 제조, 소비, 소거, 처리에 이르는 생애주기 전반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불리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누적 생산량은 2019년 94억 9천만 톤으로 2000년도 대비 약 30배 증가했습니다.

플라스틱 생산량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9%의 플라스틱만 제대로 재활용이 되고 있는데요. 이외 잘못 관리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바다로 흘러가 해양 쓰레기가 되는 등 더 큰 환경 오염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이처럼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해진 시점에서 GS칼텍스가 전세계 플라스틱 현황을 짚어보며, 플라스틱 관리의 중요성을 되돌아보는 인포그래픽을 준비했습니다.

잘못 처리되고 있는 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현황, 이대로 괜찮을까? | 본문 1

함께 보면 좋은 글

전 세계 산유국 매장량 & 생산량 TOP10 | TH F v2

2024-06-26

전 세계 산유국 매장량 & 생산량 TOP10

일반적으로 산유국 중 석유 매장량이 많은 국가를 중동 지역의 사우디아라비아로 예상하는 사람이 많을 텐데요. 실제 세계 산유국 중 매장량 기준 TOP10 과 일일 석유 생산량 기준 TOP10 국가를 GS칼텍스에서 정리했습니다. 전세계 산유국의 매장량과 일일 생산량, 주요 산유 지역까지 인포그래픽으로 한눈에 알아볼까요?

GS칼텍스, 신규 윤활유 용기 개발로 플라스틱 순환경제 가속화 | img 3 6

2024-06-27

GS칼텍스, 신규 윤활유 용기 개발로 플라스틱 순환경제 가속화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가 재활용 플라스틱 비중을 확대한 신규 윤활유 용기를 개발해 플라스틱 순환경제에 앞장선다. GS칼텍스는 27일, 새로운 3-Layer 디자인을 적용한 윤활유 용기를 개발해 자사 제품에 적용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3-Layer 디자인 […]

쓰레기 없이 살 수 있을까? 작은 것부터 시작하는 ‘제로 웨이스트’ 실천법 | 01 1 2

2024-04-26

쓰레기 없이 살 수 있을까? 작은 것부터 시작하는 ‘제로 웨이스트’ 실천법

에코 라이프와 소비 욕구 사이의 밸런스 조절, ‘제로 웨이스트’ 환경부는 매년 4월 22일 ‘지구의 날’ 전후로 기후 위기와 탄소중립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실천 행동을 확산하기 위해 기후변화주간을 운영합니다. 올해는 […]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CCS : 세계 에너지 시장의 흐름을 바꿀 탄소 포집・수송・저장 기술, CCS

2024-02-27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CCS : 세계 에너지 시장의 흐름을 바꿀 탄소 포집・수송・저장 기술, CCS

기후위기라는 말이 익숙해져가고 있는 지금, 2050 탄소중립으로 향해 가는 여정에서 CCS 기술은 탄소저감의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탄소를 포집하여 안전하게 저장하는 CCS 기술에 대해 인포그래픽으로 알아볼까요?

폐기물을 배출한 만큼 구매하는 플라스틱 크레딧(Plastic Credit)이란?

2023-12-14

폐기물을 배출한 만큼 구매하는 플라스틱 크레딧(Plastic Credit)이란?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떠오른 플라스틱 크레딧. 플라스틱 크레딧은 플라스틱 폐기물의 실제 감소량을 측정, 추적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안책으로 꼽히는데요. 플라스틱 폐기물의 회수 및 재활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이 방안,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볼까요?

기후변화가 모두가 함께 해결해나가야 할 ‘책임의 문제’가 되어감에 따라, 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도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 Storage) 기술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2023-12-08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CCS : 탄소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CCS

CCS는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유지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딜레마를 풀어줄 수 있는 기술이자, 탄소중립의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화석연료를 비교적 친환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안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CCS 기술 및 연관 산업의 밸류체인을 인포그래픽으로 알기 쉽게 설명드립니다.

2023 플라스틱 리터러시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2023-07-12

2023 플라스틱 리터러시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GS칼텍스는 지난 2010년 친환경 복합수지를 생산하기 시작한 이래, 플라스틱의 물리적 재활용뿐만 아니라 화학적 재활용을 위한 기술혁신과 다양한 협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분리수거된 폐플라스틱을 물리적 재활용 과정을 거쳐 친환경 복합수지로 재탄생시키기고 있으며, 폐플라스틱을 통해 열분해유를 생산하여 자원순환형 플라스틱 원료로서 활용하는 화학적 재활용 사업을 추진해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장서고 있습니다.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