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감정은 있어도 나쁜 감정은 없다!
삶의 행복감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잘한 것들은 버리고 간간이 강한 것부터 하나씩 터트리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자칫 화끈해 보일 수 있는데, 우리 마음에 적응이란 기전이 있어 아무리 강해도 지속 시간이 그렇게 길지 않고 심지어는 더 강한 것을 터뜨리지 않으면 마음에 기별이 없어 행복에 대한 내성이 생기게 된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강력한 자극이 아닌 삶의 소소한 자극에도 내 마음이 반응할 수 있도록 행복 반응의 역치를 낮추는 것이다. 이 방법은 강도 위주의 접근보다 더 효과적으로 행복감을 지속시켜 준다.
‘가을의 파란 하늘이 느껴 지시나요’는 상대방의 마음에 여유로움이 존재하는지 살펴볼 수 있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의외로 가을이 온 지도 몰랐고 느껴지지도 않는다고 답변하는 분들이 적지 않다.
우울증이 찾아오면 우울감을 느끼는 것이 당연한데 우울증이 심해진 경우 우울한 감정마저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상한 색안경을 낀 것처럼 세상이 잿빛으로 보이고 내 감정이 다 말라버린 듯한 경험을 하기도 한다. 마음 속 감정을 느끼는 시스템이 무감정의 상태가 되어 버린 것이다. 우울할 수 있다는 것은 그래도 내 감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가을을 타는 것은 가을이라는 계절에 내 마음이 반응에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감정 반응이다. 파란 하늘을 보면 너무 아름답다 가도, 이렇게 좋은 날이 또 흘러가고 있기에 삶의 유한성이 주는 슬픔을 동시에 느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가을 타기의 감정 반응이 존재한다.
앞에 질문에 가을을 느끼고 있다면 마음 상태가 괜찮은 거라고 이야기하고, 아니라면 찐한 가을 타기를 권한다. 행복의 기준을 좋은 감정으로만 정의하는 경향이 현대인들에게 존재한다고 하는데 이것이 오히려 우리 삶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 희로애락은 삶의 자연스러운 감정 반응들이다. 분노와 슬픔만 빼내고 기쁨과 즐거움만으로 사는 것이 행복이라 설정하면 삶이 오히려 우울 해진다. 삶에 기쁨과 즐거움만이 존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을이 주는 정상적인 가을 타기의 우울도 불편하다고 너무 밀어내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다 보면 가을 타기의 묘미도 즐길 수 없고 오히려 가을이 버겁게 느껴질 수도 있다.
‘가을의 파란 하늘이 느껴 지시나요’는 상대방의 마음에 여유로움이 존재하는지 살펴볼 수 있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의외로 가을이 온 지도 몰랐고 느껴지지도 않는다고 답변하는 분들이 적지 않다.
우울증이 찾아오면 우울감을 느끼는 것이 당연한데 우울증이 심해진 경우 우울한 감정마저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상한 색안경을 낀 것처럼 세상이 잿빛으로 보이고 내 감정이 다 말라버린 듯한 경험을 하기도 한다. 마음 속 감정을 느끼는 시스템이 무감정의 상태가 되어 버린 것이다. 우울할 수 있다는 것은 그래도 내 감정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가을을 타는 것은 가을이라는 계절에 내 마음이 반응에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감정 반응이다. 파란 하늘을 보면 너무 아름답다 가도, 이렇게 좋은 날이 또 흘러가고 있기에 삶의 유한성이 주는 슬픔을 동시에 느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가을 타기의 감정 반응이 존재한다.
앞에 질문에 가을을 느끼고 있다면 마음 상태가 괜찮은 거라고 이야기하고, 아니라면 찐한 가을 타기를 권한다. 행복의 기준을 좋은 감정으로만 정의하는 경향이 현대인들에게 존재한다고 하는데 이것이 오히려 우리 삶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 희로애락은 삶의 자연스러운 감정 반응들이다. 분노와 슬픔만 빼내고 기쁨과 즐거움만으로 사는 것이 행복이라 설정하면 삶이 오히려 우울 해진다. 삶에 기쁨과 즐거움만이 존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을이 주는 정상적인 가을 타기의 우울도 불편하다고 너무 밀어내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다 보면 가을 타기의 묘미도 즐길 수 없고 오히려 가을이 버겁게 느껴질 수도 있다.
난 문제가 있어 보다 ‘Natural’이야라는 마음으로
올 여름, 장마 기간이 되면 우울한 감정이 드는데 혹시 자신이 우울증이 맞냐는 질문을 환자로부터 많이 받았다. 이럴 때는 반문을 드린다. ‘그럼 비가 많이 오는데 기분이 좋은 것이 정상일까요?’ 라고. 이렇게 말씀드리면, 다들 웃고 진료실을 나가신다. 꼭 필요한 일이기 하나 사람들에겐 문제 중심 프레임이 우리 마음 안에서 과도하게 작동하는 면이 있다.
올해 수천 명에게 질문했다. “에너지가 수년 전보다 더 좋아지신 분 있으세요?” 단 한 분도 없었다. 수년 전보다 에너지가 떨어졌다는 것은 비정상이 아닌 ‘natural’ 한 것이다.
현 시대를 Great transition with High pressure, 강력한 압박을 받는 전환의 시기라 한다. 즉 심리적 압박이란 것은 심히 불편하지만 어찌됐든 자연스러운 것이다. 불편하지만 나약한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다. 이 포인트가 중요하다. 힘든 데도 최선을 다하고 일하고 있기에 우리는 스스로를 추앙해 주어야 한다. 힘든 것은 약함이 아니라 어려운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하는 대견함이다. 실제 비즈니스 심리에서 제일 뜨고 있는 마인드 케어 이론이 자기 연민(self-compassion)이다. 연민보단 개인적으로 추앙이란 메타포를 더 좋아한다. 재밌게 본 드라마의 영향인 듯하다.
힘든가, 예전 같지 않은가, 당연한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하는, 마치 다리에 경련이 일어난 국가 대표 축구선수가 끝까지 뛰는 우리의 모습, 넘어지는 순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드리고 자연스럽게 다시 나아가는 것처럼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내츄럴하게 추앙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추앙할 것인가, 힐링의 역설 그리고 마이너 브레이크”
‘힐링의 역설(paradox)’이라는 말이 있다. 삶이 지칠수록 힐링 활동이 필요한데, 지쳤기 때문에 오히려 힐링하는 것이 귀찮아지는 경향을 뜻하는 말이다. 이 말은 다시 말해, 번아웃 상황에서 새로운 힐링 활동을 개발하는 것조차 힘이 드는 상황을 뜻하는데 이 힐링의 역설에 빠지지 않기 위해선 우선 지금 일이 많아졌으니 힐링 활동은 잠시 뒤로 미루자 라는 생각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여유가 필요하다. 힐링의 역설에 빠지는 전형적인 예가 지금 중요한 업무가 있으니 일단 일에 집중하자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물론 일에 집중하는 것도 훌륭한 생각이지만 이것이 계속될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흐트러지게 된다. 마음은 물리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더 일하는데 잘 쉬지 않으면 번아웃이 찾아온다. 물리적으로는 여유를 낼 수 없는 상황일수록 작은 쉼, 즉 마이너 브레이크를 삶에 잘 적용하면 화려하고 긴 쉼 이상으로 내 마음을 재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번아웃이 찾아왔을 때도 마이너 브레이크 리스트가 담긴 힐링 공책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올해 수천 명에게 질문했다. “에너지가 수년 전보다 더 좋아지신 분 있으세요?” 단 한 분도 없었다. 수년 전보다 에너지가 떨어졌다는 것은 비정상이 아닌 ‘natural’ 한 것이다.
현 시대를 Great transition with High pressure, 강력한 압박을 받는 전환의 시기라 한다. 즉 심리적 압박이란 것은 심히 불편하지만 어찌됐든 자연스러운 것이다. 불편하지만 나약한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다. 이 포인트가 중요하다. 힘든 데도 최선을 다하고 일하고 있기에 우리는 스스로를 추앙해 주어야 한다. 힘든 것은 약함이 아니라 어려운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하는 대견함이다. 실제 비즈니스 심리에서 제일 뜨고 있는 마인드 케어 이론이 자기 연민(self-compassion)이다. 연민보단 개인적으로 추앙이란 메타포를 더 좋아한다. 재밌게 본 드라마의 영향인 듯하다.
힘든가, 예전 같지 않은가, 당연한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하는, 마치 다리에 경련이 일어난 국가 대표 축구선수가 끝까지 뛰는 우리의 모습, 넘어지는 순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드리고 자연스럽게 다시 나아가는 것처럼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내츄럴하게 추앙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추앙할 것인가, 힐링의 역설 그리고 마이너 브레이크”
‘힐링의 역설(paradox)’이라는 말이 있다. 삶이 지칠수록 힐링 활동이 필요한데, 지쳤기 때문에 오히려 힐링하는 것이 귀찮아지는 경향을 뜻하는 말이다. 이 말은 다시 말해, 번아웃 상황에서 새로운 힐링 활동을 개발하는 것조차 힘이 드는 상황을 뜻하는데 이 힐링의 역설에 빠지지 않기 위해선 우선 지금 일이 많아졌으니 힐링 활동은 잠시 뒤로 미루자 라는 생각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여유가 필요하다. 힐링의 역설에 빠지는 전형적인 예가 지금 중요한 업무가 있으니 일단 일에 집중하자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물론 일에 집중하는 것도 훌륭한 생각이지만 이것이 계속될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흐트러지게 된다. 마음은 물리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더 일하는데 잘 쉬지 않으면 번아웃이 찾아온다. 물리적으로는 여유를 낼 수 없는 상황일수록 작은 쉼, 즉 마이너 브레이크를 삶에 잘 적용하면 화려하고 긴 쉼 이상으로 내 마음을 재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번아웃이 찾아왔을 때도 마이너 브레이크 리스트가 담긴 힐링 공책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힐링 부자는 힐링 공책이 있다.
마이너 브레이크를 평소에 잘 활용하고 번아웃이 느껴질 때 힐링 공책을 열어 자신에게 잘 맞는 힐링 활동을 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힐링 공책은 꼭 실제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마음에 있어도 된다. 나만의 마이너 브레이크를 찾았다면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하지만 의외로 내가 내 마음을 잘 모르기 때문에 힐링 노트를 하나 두는 것이 좋다. 의외의 상황에서 자신의 힐링 활동을 만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한 직장인 아빠가 초등하교 자녀가 드론을 사서 같이 놀자고 조르는데 비록 쉬고 싶은 주말이었지만, 드론을 구매해 야외로 나갔다는 것이다. 서툰 실력에 고생하다 드디어 드론이 날아올라 뿌듯한 마음에 자녀를 찾으니 옆에 보이질 않았다고 한다. 황당하게도 예쁜 애완견과 함께 놀러 온 가족 쪽에 그 집 자녀인 양 가 있었다는 것이다. 속상한 마음에 ‘드론 공격’이 떠올랐지만 포기하고 더 높이 날렸다고 한다. 그 때 신기하게도 ‘자유로움’이 느껴지며 힐링을 경험했다는 것이다. 이후 혼자서 드론 힐링을 즐기고 있다고 한다.
힐링을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이 피곤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힐링에도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는 걸 말해주고 싶다. 그리고 힐링에 대한 지식과 연습도 필요하다. 앞에 예처럼 내 마음이 무엇에 힐링 되는 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내 마음이지만 보이지 않고 직접적인 소통도 어렵기 때문이다. 힐링의 시작은 내 마음과의 소통(mindful communication)이다. 마음이 좋아하는 활동들을 찾아 꾸준히 삶에 적용하는 것은 중요한 마음 소통법이다. 그러다 보면 내 마음 공책에 나만의 힐링 리스트들이 한 줄씩 늘어나게 된다.
연구로 입증된 힐링 공책 개발 관련 조언들을 소개해 보면, 힐링은 긴 여유시간을 확보해 화려한 활동을 해야만 찾아오는 것은 아니다. 내 마음을 업무 스트레스에서 잠시 떨어지게 하는 근무 시간 중의 단 10분의 작은 휴식(minor break)도 스트레스로 지친 마음과 과도한 스트레스 호르몬이 흘러나온 생체 시스템을 원 상태로 복원한다. 어떤 활동이 좋은지에 대한 답은 나에게 잘 맞는 활동이 최고이다. 동료와 부부가 같은 힐링 활동이나 취미를 하려다 낭패를 겪는 경우가 많다. 우정이나 사랑과는 무관하게 ‘힐링’ 활동에 대한 내 마음의 선호 경향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에 따라 동료와 커피 한 잔을 하며 즐기는 대화가, 아니면 점심 시간을 이용해 자연이 공원에서 산책을 할 때 브레이크가 찾아온다. 회사에 따라서는 사무실을 공원 같은 분위기의 장소를 만들어 놓기도 한다. 우리 회사에는 그런 공간이 없다고 너무 섭섭해할 필요는 없다. 과거의 멋진 사진이나 가고 싶은 곳의 사진을 버츄얼하게 보는 것도 유사한 힐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창가에 작은 화분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것도 훌륭한 마이너 브레이크가 될 수 있다. 매일 매일 일과 업무에 온 신경을 쏟았더라면 오늘 하루는 작은 마이너 브레이크 하나로 큰 힐링을 맛보는 건 어떨까?
힐링을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이 피곤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힐링에도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는 걸 말해주고 싶다. 그리고 힐링에 대한 지식과 연습도 필요하다. 앞에 예처럼 내 마음이 무엇에 힐링 되는 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내 마음이지만 보이지 않고 직접적인 소통도 어렵기 때문이다. 힐링의 시작은 내 마음과의 소통(mindful communication)이다. 마음이 좋아하는 활동들을 찾아 꾸준히 삶에 적용하는 것은 중요한 마음 소통법이다. 그러다 보면 내 마음 공책에 나만의 힐링 리스트들이 한 줄씩 늘어나게 된다.
연구로 입증된 힐링 공책 개발 관련 조언들을 소개해 보면, 힐링은 긴 여유시간을 확보해 화려한 활동을 해야만 찾아오는 것은 아니다. 내 마음을 업무 스트레스에서 잠시 떨어지게 하는 근무 시간 중의 단 10분의 작은 휴식(minor break)도 스트레스로 지친 마음과 과도한 스트레스 호르몬이 흘러나온 생체 시스템을 원 상태로 복원한다. 어떤 활동이 좋은지에 대한 답은 나에게 잘 맞는 활동이 최고이다. 동료와 부부가 같은 힐링 활동이나 취미를 하려다 낭패를 겪는 경우가 많다. 우정이나 사랑과는 무관하게 ‘힐링’ 활동에 대한 내 마음의 선호 경향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에 따라 동료와 커피 한 잔을 하며 즐기는 대화가, 아니면 점심 시간을 이용해 자연이 공원에서 산책을 할 때 브레이크가 찾아온다. 회사에 따라서는 사무실을 공원 같은 분위기의 장소를 만들어 놓기도 한다. 우리 회사에는 그런 공간이 없다고 너무 섭섭해할 필요는 없다. 과거의 멋진 사진이나 가고 싶은 곳의 사진을 버츄얼하게 보는 것도 유사한 힐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창가에 작은 화분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것도 훌륭한 마이너 브레이크가 될 수 있다. 매일 매일 일과 업무에 온 신경을 쏟았더라면 오늘 하루는 작은 마이너 브레이크 하나로 큰 힐링을 맛보는 건 어떨까?
※ 본 글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GS칼텍스의 공식입장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