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A, 중기(中期) 석유시장 전망 (OIL 2023)

GS칼텍스 -

IEA 석유시장 중기 전망(OIL 2023)

1. IEA, 석유시장 5년간 중기 전망 발표

※ IEA는 매년 중기 석유시장 전망을 발표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2022년 발간 유예
IEA 석유시장 중기 전망(OIL 2023)
  • 공격적 통화긴축에 따른 경제 하방압력 영향, 2025년 되어야 완화 예상
    • 공격적 통화긴축정책으로 OECD 경제성장 하방압력 ⇒ 중국 경제 회복 모멘텀 유지 여부 중요성이 높아짐(세계 GDP 2023년 2.4%, 2024년 2.8%)
※ 리오프닝 이후 보복수요 2023년 중반 마무리, 이후 모멘텀 상실
※ 2020~22년 부각된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 국경간 이동제한 완화
    • 완화적 통화정책으로의 선회로 2025년 OECD 경제 회복(세계 GDP 2025년 3.7%, 2026~28년 3.3%)
    • 전망 리스크 요인 다수(하향 리스크 편중) : 지정학 리스크(서방-중국 갈등, 중-러-중동 결합), 인플레이션 고착화(추가 금리 인상), 신종 바이러스 확산
  • 전망기간 내 실질유가 $76/B (North Sea Dated 현물유가) 유지 가정
    • 고유가 시나리오 : 실질유가 연 2.5% 상승 가정
    • 저유가 시나리오 : ICE Brent 포워드커브 기반(2023년 $79/B → 2028년 $67/B)

2. 에너지 전환 진행되며 석유수요 증가속도 둔화

현재 정책을 기반으로 볼 때에 에너지 전환이 속도를 내며 세계 석유 수요 증가가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

  • 세계 석유수요 증분은 2023년 240만b/d이나, 2028년에는 40만b/d로 위축
※ 전망기간 초기 항공유 수요, 전망기간 후반 아시아 석유화학 수요가 소비 증가 견인
    • 선진국의 석유수요 감소(OECD 2023년 정점)를 신흥국의 견조한 수요 증가로 상쇄하며 전체 수요 증가세 유지
    • 북미·유럽 수요는 2023년까지 증가 후 2024~28년 각 연간 24만b/d, 12만b/d 감소(2019년 수준 미달) 
    • 아/태지역 수요는 2023년 수요가 팬데믹 전 수준을 처음으로 상회하며 2022~28년 550만b/d 증가해 전체 수요 증분 중 비중 약 90% 차지
    • 리오프닝으로 중국은 올해 상반기 대규모 수요 회복을 보였으나 2024년 후 수요 증분 둔화(2023년 140만b/d → 2024~28년 연평균 29만b/d)
※ 2022~28년 총 290만b/d 증가해 세계 수요 증분(590만b/d) 중 절반 가량 차지
    • 인도의 석유수요 증분 규모가 2027년 중국을 상회(2022~28년 100만b/d)
※ 이는 인도의 높은 경제성장률(2024~28년 6.9%), 인구증가, 도시화, 산업화, 중산층 증가에 따른 차량 이용 및 여행 수요 증가 등에 기인함
IEA 석유시장 중기 전망(OIL 2023)
2020년대 중반 수송부문 수요 피크 발생하나, 석유화학 원료·항공부문 수요 지속 증가
  • 바이오연료, 석유화학 부문을 제외한 석유소비는 2028년 8,160만b/d로 정점
  • 도로수송과 전체 수송부문 소비는 각 2025년, 2026년 정점
    • 도로수송부문 수요는 2025년 정점(4,530만b/d, 2019년 대비 소폭 상회) 이후 점진 감소(2028년 도로수송 소비 : 2019년 대비 △46만b/d)
    • 2022~28년 전기차 판매 증가로 인한 수요 감소 규모는 300만b/d(휘발유 230만b/d·경유 63만b/d)에 달하며 연비개선으로도 480만b/d 감소
※ 2028년 차량 판매 4대 중 1대 이상은 전기차
※ 휘발유 소비 2023년 정점에 도달(2028년 휘발유 소비 : 2022년 대비 △30만b/d)
  • 석유화학 부문(2022~28년 230만b/d↑)은 석유수요 증분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며 LPG/에탄, 나프타가 2022~28년 증분의 50% 이상 차지
※ 2022~28년 증분 : LPG/에탄 170만b/d, 나프타 150만b/d
※ 신규 석유화학 플랜트와 석유화학 소비 증분 중 각 51%, 48%가 중국에서 발생
  • 팬데믹 후 국경 개방, 신흥국 경제성장으로 2028년 항공유 수요는 2022년 대비 200만b/d 증가 
※ 중국 리오프닝 후 중국과 인접국 항공부문이 2023년 4분기에 2019년 수준 회복 전망 ⇒ 2023~28년 등유 소비 증가의 76%가 아/태지역에서 발생
※ 다만 연비개선, 소비자 행태변화로 항공유 소비는 2027년 되어야 2019년 수준 회복
  • GDP 증가에 따라 2028년 벙커수요는 약 450만b/d로 증가(2022년 대비 30 만b/d↑)하겠으나, 연비개선·국제해사기구 온실가스 배출 감축 강화로 증분 제약(수요 감소 영향 : 40만b/d) 
  • 재생발전 확대는 중동지역 중심(55만b/d↓)으로 발전용 석유소비 위축
IEA 석유시장 중기 전망(OIL 2023)
IEA 석유시장 중기 전망(OIL 2023)

3. 비OPEC+, 석유공급 증가 주도

글로벌 유가스 상류부문 투자 증가
  • 2023년 글로벌 상류부문 자본투자는 $5,280억으로 전년($4,740억)대비 $540억 증가하여 2015년 이후 고점
    • 석유회사들은 ESG 이슈, 기후 이니셔티브로 인해 소규모·단기 사이클 중심 프로젝트, 미주·중동지역 중심 개발 ⇒ 저비용·저탄소·짧은 회수 기간의 프로젝트 개발로 좌초자산 가능성 회피
  • 미주 중심으로 글로벌 석유생산 능력 확장되나 전망기간 내 증가속도 둔화
    • 2028년까지 생산능력 1억 1,100만b/d, 순증가 590만b/d(증가속도 : 2022~23년 190만b/d→2028년 30만b/d, 특히 미국 증가세 둔화)
※ 생산능력 증대 속도 둔화는 청정에너지로의 전환과 수요 증분 약세에 기인
중기 생산능력 확장은 비OPEC+에 집중되며 미국·브라질·가이아나가 주도
  • 미국이 비OPEC+ 생산능력 확대(510만b/d↑) 중 50%를 차지하며, 브라질· 가이아나가 남미지역 190만b/d 생산능력 추가에 기여
  • OPEC+(80만b/d↑) 내에서는 사우디·UAE·이라크가 주도
※ 원유생산능력(만b/d) :
사우디 2022년 1,220→2028년 1,300 (80↑), UAE 2022년 420→2028년 480 (69↑), 이라크 2022년 470→2028년 530 (56↑), 쿠웨이트 2022년 280→2028년 300 (19↑)
    • 미국 생산 증가 둔화는 사우디, UAE, 이라크가 세계 석유수요 증분 충족 위해 생산능력 확대에 나서는 기회로 작용
※ 중동의 석유공급 시장 점유율 : 2023년 30% → 2028년 32% (현재 투자 여건과 시장 트랜드 상 중동의 석유공급 시장 점유율은 장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평가)
    • 반면 아프리카·아시아 참여국은 생산 위축 지속이 예상되며 러시아도 제재·서방기업 이탈에 따른 프로젝트 지연으로 인해 생산능력 감소
※ 원유생산능력(만b/d) :
나이지리아 2022년 140 → 2028년 110 (30↓), 앙골라 2022년 117 → 2028년 82 (35↓), 리비아 120 (유지)
수요 증가 감안 시 2028년까지 580만b/d 공급증가 필요(1억 570만b/d)
  • 석유 생산량 증대 중 미국 45%, 중동 40% 비중 차지(OPEC+ +69만b/d, 비OPEC+ 510만b/d)
※ 2025년부터 핵심 중동 산유국 공급이 대OPEC원유 수요에 따라 비례 변동함을 가정
  • 미국(+260만b/d, 원유 +170만b/d), 브라질(+97만b/d), 캐나다(+40만b/d) 2028년 생산량 신고점 경신 예상되며 카타르(+36만b/d) 생산량도 전망기간 말 신고점 경신
    • 미국 원유 생산은 2027년까지 신고점 경신하며 이는 퍼미안 분지 중심 타이트오일(2022~28년 +210만b/d, 증분속도 2023년 78만b/d에서 2028년 17만b/d로 둔화)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
    • 이외 아르헨티나 생산이 2028년 100만b/d를 상회해 신고점 경신하며 가이아나 생산량은 전망기간 동안 100만b/d 가량 증가
※ 특정 지역 외 비OPEC+ 내 증산 유망한 지역 미미 (북해(△40만b/d)는 에너지 전환에 직면해 있으며, 아/태 지역(△69만b/d)은 감소 추세 지속)
IEA 석유시장 중기 전망(OIL 2023)
  • 사우디, UAE, 카자흐스탄 생산량도 전망기간 후반 생산량 사상 최고치 기록 예상
※ OPEC+ 공급은 2023년 47만b/d 감소한 후 2025년부터 완만 증가(2025~28년 대 OPEC 원유수요가 누적 110만b/d 증가)
※ 원유생산량(만b/d) : 사우디 2022년 1,050 → 2028년 1,120, UAE 2022년 330 → 2028년 360, 카자흐스탄 2022년 150 → 2028년 175
  • 반면, 러시아는 제재로 2028년까지 큰 감소를 보이겠으며 멕시코와 앙골라도 투자부족으로 감소세 주도
  • 전망기간 동안 이란이 석유시장의 와일드카드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
※ 이란 원유생산은 2022년 250만b/d에서 2023.5월 290만b/d(수출,정제처리 증가)로 증가했으며 제재 유지를 가정해 전망기간 내 동 수준 유지 전망
※ 제재 해제 시 생산능력이 380만b/d에 도달하며 생산이 점진적으로 90만b/d 증가
IEA 석유시장 중기 전망(OIL 2023)
잉여생산능력은 전망기간 내 최소 410만b/d 보일 것으로 전망하며 사우디(200만b/d), UAE(120만b/d)에 편중(OPEC+ 23개국 : 380만b/d)
IEA 석유시장 중기 전망(OIL 2023)

4. 정제능력 증가가 석유수요 증분 규모 상회

2028년 글로벌 정제규모가 2022년 대비 440만b/d 순증가(신규 600만b/d, 폐쇄 160만b/d)로 제품 수요 증분 초과
  • 향후 정유시장의 중심, 수에즈 이동(以東)으로의 이동 가속화
    • 신규 시설 약 70%가 수에즈 이동(중국, 인도 및 중동) 시장이며, 대서양 분지 시장은 180만b/d에 그침
    • 시설 폐쇄의 약 40%는 유럽과 미국에서 나타나며 수에즈 이동에서도 100만b/d 규모가 폐쇄되나 신규 시설로 대체됨
※ 2022~28년 순증가(만b/d) : 수에즈 이동 330(중국 150), 대서양분지 110
※ 중국 정제처리량이 2022~28년 280만b/d 증가하며 2022년 정제능력이 미국을 초과한데 이어 정제처리량도 2025년 미국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다만, 중국 정부 정책에 따라 유동적)
    • 정제시설 신규 추가 규모가 석유수요 증분을 상회하며 2028년 잉여 정제시설 규모가 800만b/d에 달함(중국 잉여능력 : 320만b/d) 
  • 중국 정부의 배출저감 정책으로 수출량이 변동성을 띌 수 있음 ⇒ 제품 마진 상승 가능성 존재
    • 제품 수급 전망은 중국 제품수출(특히 디젤)정책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평가
  • 팬데믹에 따른 수요 급감·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석유공급 차질에 이어 도로수송수요 피크 임박 및 등유 소비 급증에 직면 ⇒ 중간유분·석유화학 원료 부문으로의 구조적 변화 발생
    • 정유사가 수익성 관리와 수요 충족이라는 과제에 직면했으며, ‘원유 slate 변화’에 대응 필요
※ 원유 공급 변화에 대한 노출도가 심한 정유사 경우 폐쇄 리스크 고조
※ 미국 LTO 증산 둔화, OPEC+(중질유)의 공급 축소 가능성
IEA 석유시장 중기 전망(OIL 2023)

5. 대서양분지에서 수에즈 이동(以東)으로의 석유 이동 지속 증가 전망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석유 트레이드 흐름 전례없는 변화를 겪었고, 가까운 미래에 이전 상태로의 복귀 없을 것으로 전망
※ 러시아에서 유럽·G7으로의 원유 250만b/d 이동이 중단되고 주로 아시아 중심 신규 시장 확보(2023년 5월 러시아 원유 수출의 약 80%가 인도·중국으로 유입되었고 중국과 인도의 원유 수입 중 러시아 산 비중이 각 20%, 45% 차지)
※ 러시아에서 유럽·미국으로 유입되던 나프타·경유·중유도 튀르키예·수에즈이동· 남미·아프리카 등의 신규 시장으로 물류 흐름 변화
수요 증가 지역(수에즈 이동)과 원유 공급 증가 지역(대서양분지) 상이
  • 대서양 분지(러시아 제외)의 원유(컨덴세이트 포함) 공급과잉 규모가 2028년 450만b/d로 2022년 대비 430만b/d 증가
※ 미국·브라질·가이아나 생산 증가하나 수송연료 소비 감소로 정제처리는 감소함에 기인
※ 서방(특히 미주)지역이 글로벌 석유공급 증가 주도(2028년까지 수출 410만b/d 증가)
  • 아시아 수요 증가 규모(아시아 원유 수입수요 : 2028년 2,800만b/d, +480만b/d)가 중동발 원유 공급 증가분을 상회 ⇒ 아시아 수요 충족에 대서양 분지 공급분 역할 중요
※ 중동 내 신규 정제시설 가동 등으로 중동발 원유 수출 증가가 제한됨
  • 글로벌 원유순수출 중 대서양 분지의 수입 비중은 25%로 하락하는 반면, 수에즈 이동 비중은 증가
※ 2028년 원유 수출 중 중국과 인도가 1/3, 17% 흡수
경질제품은 이서(以西)에서 이동(以東)으로의 이동 증대되는 한편, 중간유분은 이동(以東)에서 이서(以西) 시장으로 이동
  • 휘발유는 상대적으로 수급 균형(아프리카·기타 아시아 지역 부족분이 러시아· 중동지역 과잉으로 상쇄)을 이루나 2025년 공급과잉으로 전환되어 정유업계 내 조정이 없다면 2028년 과잉규모가 130만b/d에 달함
※ 아시아(중국·인도 제외)에서 공급부족 규모가 34.5만b/d 증가하나 북미·중국·인도는 수급균형에서 2028년 순수출로 전환(각 60만b/d, 90만b/d, 13만b/d)
  • 한편, 중국 주도의 석유화학 플랜트 확대로 아시아 지역은 나프타 등의 제품군에서 공급 부족 발생
※ 나프타 부족 규모 : 중국 70만b/d↑, 기타아시아(인도제외) 20만b/d↑
※ 한편, 나프타 수출 증가는 중동 27만b/d, 미국 12만b/d 등으로 제한적
    • 중국이 대규모 정제 및 석유화학 잉여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 정책에 따라 수에즈 이동 시장의 대서양 분지로부터의 원유·경질제품 수입 규모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
※ 미국과 유럽의 휘발유 공급과잉 감안 시 경제성 확보된다면 휘발유에서 나프타로의 수율변경 잠재성이 충분함
  • 대서양분지(러시아 제외), 동아프리카, 기타 아시아 지역(중국·인도 제외)에서 중간유분 공급부족 규모는 2022년 대비 110만b/d 확대 전망
    • 러시아(10만b/d), 인도(5만b/d), 중동(8만b/d), 중국(110만b/d)에서 중간유분 수출 증가하며 인도·중동·중국 물량이 러시아 물량 보전을 위해 유럽 등 대서양분지 시장으로 이동
    • 중국의 대규모 수출 증가는 수출물량 저장을 위한 터미널 등 인프라 구축을 필요로 하며 인프라 확충에 실패할 경우 중간유분 시장은 타 이트한 상태 지속 가능
    • 또한 중국 중심의 이동에서 이서로의 중간유분 이동 촉진은 차익거래 경제성 확보 위해 아시아 제품가격 하방압력 가능(아시아 정제마진 약화)
중질(Heavy) 고유황 생산은 감소하는 반면 생산 증가가 중질(Medium)·경질 저유황 유종에 집중되며 경질-중질, 저유황-고유황 간 가격 차 축소 ⇒ 복합정제시설의 정제마진 훼손

함께 보면 좋은 글

이효진 대리 - 한국석유공사 정보분석팀

IEA, 중기(中期) 석유시장 전망 (OIL 2023) | img ccl

GS칼텍스에 의해 작성된 본 콘텐츠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으며, 한국석유공사의 저작물에 기반합니다.

IEA, 중기(中期) 석유시장 전망 (OIL 2023) | image noc
본 콘텐츠는 한국석유공사 자료에서 발췌하여 재구성한 것입니다.
본 콘텐츠의 IP/콘텐츠 소유권은 한국석유공사에 있으며 Reproduction을 제한합니다.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