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칼럼
![[에너지칼럼] 전기차에도 붙는 에너지 등급 라벨, 효율 경쟁 진입 신호탄 2 [에너지칼럼] 전기차에도 붙는 에너지 등급 라벨, 효율 경쟁 진입 신호탄 | TH 3](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5/TH-3.jpg)
[에너지칼럼] 전기차에도 붙는 에너지 등급 라벨, 효율 경쟁 진입 신호탄
2024-05-27
합리적 선택의 기준은 효율성에 기반하기 마련인데요. 지난 4월 1일부터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전기차 에너지 효율 등급제가 전면 시행되어, 모든 전기차는 5개 등급으로 구분된 등급 라벨을 부착하게 됩니다. 사람들은 한눈에 에너지 효율을 확인해 자기에게 맞는 전기차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고, 제작사들은 적은 전기로 최대한 멀리 가는 고효율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하게 됐습니다. 전기차 시장의 현황과 전기차 에너지 효율 등급제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면서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 점을 짚어보려 합니다.
![[에너지레포트] KDB, 주요국 에너지전환 정책 동향 및 시사점 4 [에너지레포트] KDB, 주요국 에너지전환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01 3](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5/01-3.png)
[에너지레포트] KDB, 주요국 에너지전환 정책 동향 및 시사점
2024-05-27
러·우 전쟁을 거치며 에너지 안보 향상과 안정적 에너지 공급을 위한 국가별 정책 차이가 두드러지고, 에너지 정책 과도기를 겪고 있는 지금, GS칼텍스가 업계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KDB미래전략연구소가 올해 4월 발행한 ‘주요국의 에너지전환 정책 동향 및 시사점’을 정리했습니다.
![[에너지칼럼]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무역규범, 청정수소 인증제 글로벌 동향 6 [에너지칼럼]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무역규범, 청정수소 인증제 글로벌 동향 | img 1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5/img_1-1.png)
[에너지칼럼]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무역규범, 청정수소 인증제 글로벌 동향
2024-05-24
올해 3월부터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청정수소 인증제’에 대한 에너지 업계의 관심이 뜨겁습니다.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 해외 주요국은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을 위해 자국의 여건을 고려해 청정수소 기준을 마련하고, 연계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청정수소가 탄소 중립을 위한 주요 감축수단으로 역할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 각국의 청정수소 인증제 기준과 운영 방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에너지칼럼] 전기차 세금 혜택 지우는 주요국, 우리나라의 보조금 혜택 전망은? 8 [에너지칼럼] 전기차 세금 혜택 지우는 주요국, 우리나라의 보조금 혜택 전망은? | img 2](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5/img_2.png)
[에너지칼럼] 전기차 세금 혜택 지우는 주요국, 우리나라의 보조금 혜택 전망은?
2024-05-23
사라지는 전기차 세금 혜택 그 이유는?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현재 주요국 정부가 전기차 전환과 관련해 공표한 약속들이 이행되는 APS 시나리오를 가정할 경우 전 세계 연료세 순손실 규모는 2035년이면 1,100억달러(약 149조원)에 이를 […]
![[에너지칼럼] 지속 가능한 정유 산업을 위한 필수 미래 연료, SAF(지속가능 항공유) 10 [에너지칼럼] 지속 가능한 정유 산업을 위한 필수 미래 연료, SAF(지속가능 항공유) | 6](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4/6.png)
[에너지칼럼] 지속 가능한 정유 산업을 위한 필수 미래 연료, SAF(지속가능 항공유)
2024-04-24
최근 항공 분야 온실 가스 감축을 위해 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지속가능 항공유)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기술 기준, 전기와 수소만으로 장거리 비행은 어려워 항공유가 필수이다 보니, 탈탄소를 위해 SAF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다
![[에너지칼럼] 탄소중립 지원책에 시동 건 주요국 12 [에너지칼럼] 탄소중립 지원책에 시동 건 주요국 | 1 4](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4/1-4.jpg)
[에너지칼럼] 탄소중립 지원책에 시동 건 주요국
2024-04-24
보조금 쏟아내는 美…이번엔 산업계 탄소 감축에 쏜다 미국 정부는 3월 말 산업계의 탄소중립 기술에 총 60억달러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미 에너지부 산하 ‘청정 에너지 실증 사무국(OCED)’이 20개 주에 걸쳐 33개 […]
![[에너지칼럼] 전기자동차 내수 판매 첫 마이너스 성장, 숨 고르기인가 한계인가? 14 [에너지칼럼] 전기자동차 내수 판매 첫 마이너스 성장, 숨 고르기인가 한계인가? | vehicle8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3/vehicle8-1.jpg)
[에너지칼럼] 전기자동차 내수 판매 첫 마이너스 성장, 숨 고르기인가 한계인가?
2024-03-11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누적 등록 대수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구매보조금 지원, 세제 감면 같은 정부의 다양한 인센티브를 등에 업은 전기·수소차, 이른바 무공해차 보급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동아 신에너지 이노베이션 콘퍼런스] 에너지업계의 혁신을 가로막는 모래주머니와 그 해결방안 16 [동아 신에너지 이노베이션 콘퍼런스] 에너지업계의 혁신을 가로막는 모래주머니와 그 해결방안 | donga energy conference 2024 1 00 text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2/donga-energy-conference-2024-1_00-text-1.png)
[동아 신에너지 이노베이션 콘퍼런스] 에너지업계의 혁신을 가로막는 모래주머니와 그 해결방안
2024-02-28
혁신을 이루기 위해선 현재 상황을 냉철하게 진단하고, 가로막고 있는 장벽에 균열을 일으키는 시도가 중요합니다. 지난 22일 개최된 ‘2024 동아 신에너지 이노베이션 콘퍼런스’에서 진행된 에너지 분야 컨설팅 전문가 김희집 대표의 강연을 소개합니다.
![[동아 신에너지 이노베이션 콘퍼런스] 신냉전 에너지 위기 시대를 돌파할 국내 에너지기업의 성장 전략은? 18 [동아 신에너지 이노베이션 콘퍼런스] 신냉전 에너지 위기 시대를 돌파할 국내 에너지기업의 성장 전략은? | donga energy conference 2024 2 0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2/donga-energy-conference-2024-2_01-text.png)
[동아 신에너지 이노베이션 콘퍼런스] 신냉전 에너지 위기 시대를 돌파할 국내 에너지기업의 성장 전략은?
2024-02-28
서울과학기술대 창의융합대학장 유승훈 교수는 2024 동아 신에너지 이노베이션 콘퍼런스 기조 강연을 통해 ‘신냉전 에너지 위기 시대를 돌파할 국내 에너지기업의 성장 전략’을 주제로 현 상황을 다각도로 진단했습니다.
![[에너지칼럼] 비산유국이 석유수출하는 역발상 20 석유빈국이 석유수출하는 역발상](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1/korea-oil-refining-export-2024_00.png)
[에너지칼럼] 비산유국이 석유수출하는 역발상
2024-01-31
원유 수입을 늘리는 것이 오히려 국가 무역 수지에 도움이 되고 있다. 단일 설비 기준으로 세계 최대 정제 능력을 통해 우리나라가 석유수출 강국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정유사가 국가 수출에서 차지하는 기여도를 구체적인 통계와 숫자로 풀어본다.
![[에너지칼럼] 탄소저감에 기여하는 e-Fuel의 미래 전망은? 22 탄소저감에 기여하는 e-Fuel의 미래 전망은?](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1/efuel-application-cases-industry_00-1.png)
[에너지칼럼] 탄소저감에 기여하는 e-Fuel의 미래 전망은?
2024-01-11
e-Fuel의 주요 장점은 재생 가능 에너지를 사용하여 기존의 화석 연료와 비슷한 연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유럽 여러 국가들은 e-Fuel을 본격적으로 도입, 상용화에 나섰는데요. 각국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e-Fuel의 생산 공정 사례를 소개합니다.
![[에너지칼럼] 110불 → 22불 → 84불 → 마이너스 37불 → 80불... 그리고 2024년 유가는? 24 110불 → 22불 → 84불 → 마이너스 37불 → 80불... 그리고 2024년 유가는?](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4/01/oil-prices-in-2024-view_00.png)
[에너지칼럼] 110불 → 22불 → 84불 → 마이너스 37불 → 80불… 그리고 2024년 유가는?
2024-01-05
원유는 특정 국가에 집중 매장되어 있지만 지구의 모든 국가가 소비한다. 때문에 몇 산유국들이 생산, 공급을 지배해 유가를 부양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꼭 유가가 항상 높기만 한 것은 아니다. 2010년 이후부터 2024년 유가까지, 유가 변동 배경과 전망을 살펴본다.

베네수엘라의 거대한 매장량, 언제 생산으로 이어질까?
2023-12-21
15년간 미국은 베네수엘라에 대해 제재를 가하고 있다. 지난 10월 18일 미국 재무부는 베네수엘라 석유산업에 대한 라이선스를 6개월 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세계 1위 석유 매장량을 자랑하는 베네수엘라는 왜 미국의 제재를 받았을까?

최근 아시아 석유개발 동향 및 전망
2023-12-18
석유 소비 증가세를 보이는 아시아 산유국들은, 최근 에너지 안보의 강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국의 소비 충족 및 수입의존도 축소를 위해 석유 개발 및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 인도,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이 어떻게 석유개발을 추진해나가고 있는지 살펴보자.

공공·정유사·산유국 원유 유치 등 ‘석유비축’이 ‘에너지 안보’ 지킨다!
2023-12-07
"IEA의 언급처럼 석유 비축은 우리나라의 매우 중요한 에너지 안보 수단 중 하나다. 석유, 가스에너지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탓에 상시적으로 안보 리스크에 노출될 수밖에 없어 자연스럽게 비축이 중요한 방어 수단이 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