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무탄소 스팀 도입으로 탄소 배출을 감축하다

GS칼텍스 -

“공장에서 에너지를 쓰면서도 탄소를 배출하지 않을 수 있을까?”

GS칼텍스가 여기에 대한 해답을 찾았습니다. 바로 ‘무탄소 스팀’ 도입 프로젝트인데요. 기존 LNG(액화천연가스)를 원료로 생산하던 스팀 대신,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 스팀을 사용함으로써 연간 약 7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축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GS칼텍스는 지난해 11월, 남해화학과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사업’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에너지 전환이 아니라 여수산업단지 내 기업 간 ‘Cross Functional’ 협업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발굴한 혁신 사례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습니다.

“공장에서 에너지를 쓰면서도 탄소를 배출하지 않을 수 있을까?”

GS칼텍스가 여기에 대한 해답을 찾았습니다. 바로 ‘무탄소 스팀’ 도입 프로젝트인데요. 기존 LNG(액화천연가스)를 원료로 생산하던 스팀 대신,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 스팀을 사용함으로써 연간 약 7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축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GS칼텍스는 지난해 11월, 남해화학과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 사업’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에너지 전환이 아니라 여수산업단지 내 기업 간 ‘Cross Functional’ 협업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발굴한 혁신 사례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습니다. GS칼텍스가 어떻게 탄소 감축과 협력을 실현하고 있는지, ESG기획 사업개발팀 손기동 책임을 만나봤습니다.


탄소 배출 없는 ‘무탄소 스팀’, 어떻게 가능한가요?

Q. 무탄소 스팀이 뭔가요?

A. GS칼텍스는 여수공장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원 중 스팀의 저탄소 전환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정유 공장 부산물인 유황을 원료로 하는 황산 공장을 건설할 경우, 탄소 배출 없이 스팀을 생산할 수 있다는 기회를 발견하였습니다. 즉, 무탄소 스팀은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저탄소 에너지예요.

GS칼텍스, 남해화학 무탄소스팀 도입 공급 사업 모델 구조도


Q. 무탄소 스팀은 어디에서 오나요?

A. 새로운 황산공장을 짓는 것은 큰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는 큰 작업이죠. 그래서 저희와 같은 여수산업단지 내에 함께 위치하고 있는 남해화학의 유휴 황산공장을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생산된 무탄소 스팀을 GS칼텍스가 도입해 사용하는 선순환 구조를 생각해낸 것이죠.

이번 협력에 활용되는 남해화학의 황산 공장은 연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가동되지 않고 있었는데, 이번 협력을 통해 각 기업이 보유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협력 모델을 만들어낸 것이죠!


GS칼텍스-남해화학 ‘Cross Functional’ 협업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다

GS칼텍스, 무탄소 스팀 도입으로 탄소 배출을 감축하다 | 사진자료1 인터뷰 무탄소스팀 cross functional2

Q. 이번 프로젝트가 특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보통 새로운 에너지원을 만들어내 도입하려면 큰 비용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번 사업은 여수산업단지 내 기업들이 협력하여 기존 자원을 활용하는 모델이기 때문에 투자 부담은 줄이면서도 탄소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Q. 어떻게 협력하는 구조인가요?

A. 2027년부터 GS칼텍스가 정유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유황을 남해화학에 공급하면, 남해화학은 이를 원료로 황산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무탄소 스팀을 만들어 GS칼텍스로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즉, 각 회사가 가진 자원을 교환하면서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모델을 만든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단순한 자원 재활용을 넘어 기업 간 협업을 통해 신사업 기회를 발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GS칼텍스 무탄소 스팀 무탄소 에너지 탄소 배출 감축 여수산업단지 남해화학


이번 협력이 탄소 감축과 경제성까지 잡을 수 있는 이유

Q. 탄소 감축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요?

A. GS칼텍스는 LNG 기반 스팀 대신 무탄소 스팀을 도입하면서 연간 약 7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나무 한 그루가 1년에 약 22kg의 CO₂를 흡수한다고 했을 때, 이는 약 3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것 과 같은 효과라고 볼 수 있어요!


GS칼텍스, 탄소 저감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신사업 발굴

GS칼텍스 비즈니스 카운실 구조 business council 5개 하위그룹

Q. GS칼텍스는 이번 협력 외에도 탄소 감축을 위한 다른 노력을 하고 있나요?

A. 물론입니다! GS칼텍스는 ‘비즈니스 카운실(Business Council)’이라는 전사 협업 회의체를 운영하며 저탄소 신사업(Lower Carbon, Biofuel, Recycle, CCUS, White Bio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요.

특히 바이오 연료, 폐플라스틱 리사이클링, 수소,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등 다양한 친환경 기술을 개발하며, 단순한 탄소 감축을 넘어 지속 가능한 신사업 기회를 발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Q. 앞으로 GS칼텍스가 목표하는 방향은 무엇인가요?

A. GS칼텍스는 기존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과 함께, 저탄소 신사업 확장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GS칼텍스는 ‘무탄소 스팀’ 도입 프로젝트를 통해 여수산업단지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게 되었으며,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산단 내 입주사 간 협력 기회를 지속 발굴해 나갈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GS칼텍스가 보여줄 탄소 감축과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방향이 더욱 기대되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GS칼텍스 에너지식백과 무탄소스팀 무탄소에너지 여수산단 남해화학 협업

2025-03-25

[에너지식백과] GS칼텍스 무탄소 스팀, 탈탄소화와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다

산업계 필수 에너지원인 스팀은 열전달 효율성이 뛰어나 발전소, 화학공정, 식품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화석연료 기반 스팀 생산은 탄소 배출과 가격 변동성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죠. GS칼텍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수산단 내 남해화학과의 협력을 통해 상호 윈윈하는 ‘무탄소 스팀’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정유공장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유황을 활용해 황산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별도의 연료 소비 없이 스팀을 생산하는 방식인데요. 이 기술은 연간 7만톤의 CO₂ 감축 효과를 가져오며, 부산물 재활용을 통한 자원 효율성 증대와 지역 기업 간 상생협력 강화 등 다양한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스팀을 활용하고 있는 반도체, 철강, 식품가공 등 여러 산업 분야와 탈탄소화를 고민하는 산업계 전반에 새로운 자극제가 되고 있습니다. GS칼텍스의 무탄소스팀 기술 적용사례와 비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지금 에너지식백과에서 만나보세요!

GS칼텍스,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탄소 배출량 감축나서 | 2

2024-12-20

GS칼텍스,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탄소 배출량 감축나서

GS칼텍스(대표 허세홍 사장)가 무탄소 에너지원을 도입해 탄소 배출량 감축에 나선다. GS칼텍스는 20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GS칼텍스 전략기획실장 김정수 부사장, 남해화학 김창수 대표이사 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GS칼텍스의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사업’은 남해화학이 보유한 유휴 황산공장을 활용하여 여기서 생산된 무탄소 스팀을 GS칼텍스 여수공장에 도입, 기존 사용 중인 LNG원료 스팀을 대체하는 사업이다. 새롭게 생산하는 무탄소 스팀은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이다. GS칼텍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존 LNG원료 스팀을 생산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때 대비, 연간 약 7만tCO2의 탄소를 감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유휴설비의 단순 재가동을 넘어 여수산업단지 내 기업이 상호협력하여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을 창출해낸 우수 협업 사례이다. 신규 투자 시설 구축이 완료되는 2027년부터 GS칼텍스의 유황이 남해화학으로 공급되고, 이를 원료로 남해화학의 황산공장에서 생산되는 무탄소 스팀이 GS칼텍스로 공급되는 선순환 사업 구조가 구축된다.

[에너지칼럼] CFE(무탄소 에너지)연합의 출범과 산업ㆍ발전 부문 에너지 생산 기술 동향 | img 1

2024-07-10

[에너지칼럼] CFE(무탄소 에너지)연합의 출범과 산업ㆍ발전 부문 에너지 생산 기술 동향

지난 23년 10월, 국내에서는 자율적 규범인 RE100의 대안으로 전력뿐만 아니라 산업 부문 에너지의 무탄소화를 촉진하는 CFE(Carbon Free Energy) 이니셔티브(CFE연합)가 결성되었다. 이어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언급하는 등 글로벌 확산을 추진 중이다.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