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신규 윤활유 용기 개발로 플라스틱 순환경제 가속화

GS칼텍스 -

  • 국내 최초 3-Layer 디자인 윤활유 용기 개발해 Kixx 윤활유 제품에 적용
  • 총 플라스틱 사용량 15% 절감 및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량 30%로 확대
GS칼텍스, 신규 윤활유 용기 개발로 플라스틱 순환경제 가속화 | img 3 6
GS칼텍스 신규 개발 6L용 윤활유 용기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가 재활용 플라스틱 비중을 확대한 신규 윤활유 용기를 개발해 플라스틱 순환경제에 앞장선다.

GS칼텍스는 27일, 새로운 3-Layer 디자인을 적용한 윤활유 용기를 개발해 자사 제품에 적용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3-Layer 디자인 용기는 국내 윤활유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겹의 용기 디자인에서 탈피한 새로운 형태로 일반 플라스틱 원료에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 30%를 혼용, 세 겹의 디자인으로 구성된 디자인을 말한다.

GS칼텍스는 이번 개발로 윤활유 용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여 사용되는 총 플라스틱 양을 약 15% 절감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 플라스틱의 비중을 기존 20%에서 30%로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파손 및 누유 위험성도 낮아졌다. 신규 용기는 6L용 제품 절반에 적용되었으며 향후 1L, 4L 사이즈 용기 등에 확대 적용하여 재활용 플라스틱 활용을 늘려 나갈 예정이다.

GS칼텍스는 지난 해 10월부터 자체 생산하는 모든 플라스틱 윤활유 용기에 자사의 물리적 재활용(MR: Mechanical Recycling) 기술로 만들어진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가 20% 포함되도록 적용하였으며, 윤활유 용기 생산에 사용되는 재활용 플라스틱 양은 연 환산 시 약 700톤 규모에 이른다.

GS칼텍스의 이번 신규 용기 개발은 탄소중립, 에너지전환 등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자 집중하고 있는 탄소저감 사업분야인 Green Transformation(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GS칼텍스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 폐플라스틱 물리적 재활용(MR: Mechanical Recycling), 화학적 재활용(CR: Chemical Recycling) 방식의 리사이클링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폐플라스틱 재료를 혼합 사용하여 복합수지 제품의 성능과 품질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물리적 재활용(MR: Mechanical Recycle) 사업을 지속해왔으며, 현재 폐플라스틱 재활용 소재로 만들어진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은 전체 복합수지 생산량의 15%를 넘어섰다.

GS칼텍스는 기존 사업의 안정적 성장을 바탕으로 바이오 연료, 폐플라스틱 리사이클링과 같은 탄소저감 사업으로 확대하고, 나아가 White Bio, 수소, CCUS 등 규모 있는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에너지전환에 균형적으로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GS칼텍스 관계자는 “신규 용기를 선도적으로 개발하여 일반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줄이고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증대할 수 있게 되었다.”며, “향후에도 탄소저감 제품의 활용성을 높여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잘못 처리되고 있는 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현황, 이대로 괜찮을까? | TH2

2024-06-26

잘못 처리되고 있는 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현황, 이대로 괜찮을까?

플라스틱은 제조, 소비, 소거, 처리에 이르는 생애주기 전반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불리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누적 생산량은 2019년 94억 9천만 톤으로 2000년도 대비 약 30배 증가했습니다. 플라스틱 생산량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9%의 플라스틱만 제대로 재활용이 되고 있는데요. 이외 잘못 관리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바다로 흘러가 해양 쓰레기가 되는 등 더 큰 환경 오염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이처럼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해진 시점에서 GS칼텍스가 전세계 플라스틱 현황을 짚어보며, 플라스틱 관리의 중요성을 되돌아보는 인포그래픽을 준비했습니다.

봄맞이 자동차 관리 '이것'부터 점검해야 한다? Kixx가 전해주는 윤활유 관리 Tip | 윤활유 관리팁 미디어허브용이미지

2024-03-26

봄맞이 자동차 관리 ‘이것’부터 점검해야 한다? Kixx가 전해주는 윤활유 관리 Tip

GS칼텍스가 준비한 봄맞이 안전한 주행을 위한 차량 관리법을 확인해 보세요.

독보적 기술을 자랑하는 윤활유 브랜드 - Kixx 제품 라인업 영상 보러 가기 | eb8f85ebb3b4eca081ec9

2024-03-25

독보적 기술을 자랑하는 윤활유 브랜드 – Kixx 제품 라인업 영상 보러 가기

GS칼텍스 대표 윤활유 브랜드 Kixx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GS칼텍스, 재활용 플라스틱 탄소발생량 객관성 확보

2023-10-26

GS칼텍스, 재활용 플라스틱 탄소발생량 객관성 확보

GS칼텍스가 25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GS칼텍스 김형국 Chemical & Lube 본부장과 DNV비즈니스어슈어런스코리아 이장섭 대표이사, 에코지앤알 한상학 고문이 참석한 가운데 ‘탄소발자국 검증 의견서’ 수여식을 진행했다.

2023 플라스틱 리터러시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2023-07-12

2023 플라스틱 리터러시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GS칼텍스는 지난 2010년 친환경 복합수지를 생산하기 시작한 이래, 플라스틱의 물리적 재활용뿐만 아니라 화학적 재활용을 위한 기술혁신과 다양한 협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분리수거된 폐플라스틱을 물리적 재활용 과정을 거쳐 친환경 복합수지로 재탄생시키기고 있으며, 폐플라스틱을 통해 열분해유를 생산하여 자원순환형 플라스틱 원료로서 활용하는 화학적 재활용 사업을 추진해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장서고 있습니다.

GS칼텍스, 서울시와 폐비닐 재활용 업무협약 체결로 플라스틱 순환경제 앞당긴다

2023-04-11

GS칼텍스, 서울시와 폐비닐 재활용 업무협약 체결로 플라스틱 순환경제 앞당긴다

GS칼텍스가  폐비닐 등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을 통한 폐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 서울시와 협력합니다.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