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식백과] 당신이 몰랐던 석유화학의 역사와 제품들 | video petrochemical history and products 202002 F

[에너지식백과] 당신이 몰랐던 석유화학의 역사와 제품들

2020-02-13

GS칼텍스 여수공장에 직접 방문한 과학 커뮤니케이터, 과학 쿠키와 석유화학의 역사, 우리가 일상 속에서 접한 석유화학 제품들, 그리고 이 제품들의 원료를 얻는 공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실까요?

불확실을 이기는 전략: 센스메이킹

불확실을 이기는 전략: 센스메이킹

2020-01-31

“귀사는 안정적이고 변화 없이 예측 가능한 경영환경에서 사업을 하고 있습니까?” 현 시점에서 위 질문에 ‘네’라고 답할 수 있는 한국의 경영자는 별로 없을 것입니다. 2020년 한국 기업들은 그만큼 불확실하고 변화무쌍한 환경 속에 있습니다. 국제적으로는 미·중 갈등, 대중·대일 관계 및 중국 경제상황 등으로, 내부적으로는 근로 관련 제도와 노동문화의 변화, 경기침체, 불안정한 정치 상황들로 말입니다. 굳이 4차 산업혁명 같은 거대담론적인 변화요소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우리 경영환경을 불확실하게 만드는 요인들은 차고 넘치게 많습니다. ‘센스메이킹(sensemaking)’은 바로 그럴 때 필요합니다. 미시간 대학교 경영대학 석좌교수 칼 웨익(Karl Edward Weick)이 만들어 낸 이 말은 ‘환경의 여러 불확실한 요인들을 파악 및 이해하고 그런 이해를 바탕으로 한 행동을 취하는 것’입니다. 영어의 ‘메이크 센스(make sense)’는 웹스터 사전에 따르면 ‘더 명료한 이해를 하게 하는 것’이라는 뜻을 갖고 있지요. 센스메이킹이라는 말은 바로 그 관용구를 동명사로 만든 것입니다. MIT 경영대학원의 EMBA과정에서 센스메이킹을 강의하는 석좌교수 데보라 안코나 같은 사람은 센스메이킹이 가장 필요한 순간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가 어떤 식으로든 우리가 이해 할 수 없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라 주장합니다. 바로 요즘 같은 때 아닌가요? 필자는 경영자들의 센스메이킹에 도움이 될 만한 다음 여섯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합니다.

배구 용어 백과사전

배구 용어 백과사전

2020-01-23

간단한 배구 용어 몇 개만 알아도 경기 보는 재미가 올라가요. 배구 용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에너지학개론-제23강. 우리나라의 석유 비축 및 오일허브 사업 현황은?

[에너지학개론] 제23강. 우리나라의 석유 비축 및 오일허브 사업 현황은?

2020-01-17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석유수급의 차질에 대비하여 각국이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90일분의 석유를 비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석유공사가 석유비축사업을 관리하고 있는데, 2019년 9월말 기준으로 총 9개의 비축기지를 전국 각처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시설은 약 150백만 배럴 규모의 비축유를 저장할 수 있다

물 대신 마실 수 있는 차 & 없는 차!

[생활 속 에너지] 물 대신 마실 수 있는 차 & 없는 차!

2020-01-09

물 대신 마실 수 있는 차가 있고, 없는 차가 있다? 종류를 알아봐요!

[에너지식백과] 국제유가는 어떻게 결정 될까? | 20200103 03 00 F

[에너지식백과] 국제유가는 어떻게 결정 될까?

2020-01-03

국제유가를 뒤흔든 석유회사 사우디 아람코의 드론 폭격 사건! 당시 사우디 석유생산량은 절반으로 줄고 세계 증시는 하락했다는데, 끊임없이 변동하는 국제유가는 어떤 원리로 움직일까요?

GS칼텍스 뉴스레터 8. [석유 찌꺼기의 새로운 변신, 지상유전이라 불리는 ‘고도화 공정’]

GS칼텍스 뉴스레터 8. [석유 찌꺼기의 새로운 변신, 지상유전이라 불리는 ‘고도화 공정’]

2019-12-28

NO.8 ㅣ 2019.12 Editor’s Note “알래스카에 냉장고를 판다?” 산유국에서 원유를 수입하고 그 산유국에 석유제품을 내다 파는 국내 정유사가 보여주는 ‘진귀한 광경’을 얼마 전 접한 한 신문 기사에서 이렇게 표현하더군요. 한국은 […]

[에너지식백과] 지상유전, 석유의 고도화 공정이란? | video ar cracker 201912 F

[에너지식백과] 지상유전, 석유의 고도화 공정이란?

2019-12-06

석유 한방울 안나는 나라에서 전 세계에 석유 제품을 수출할 수 있는 이유! 바로 고도화 기술에 대해 과학커뮤니케이터 과학쿠키와 함께 영상으로 알아봅니다.

GS칼텍스서울Kixx배구단의 숨은 조력자들을 만나보았다 [스탭편 ②] – 이경하 주무, 이지언 통역

GS칼텍스서울Kixx배구단의 숨은 조력자들을 만나보았다 [스탭편 ②] – 이경하 주무, 이지언 통역

2019-12-05

GS칼텍스서울Kixx배구단의 뒤에서 묵묵히 서포트해 주는 숨은 조력자들의 이야기를 감상해 봅시다!

에너지학개론- 제22강. 우리나라의 석유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에너지학개론] 제22강. 우리나라의 석유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2019-12-05

우리나라는 1998년에 발견된 동해-1 가스전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2004년부터 가스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생산된 천연가스에서 무거운 성분들이 응축된 컨덴세이트는 공식적으로 원유로 분류되므로 한국도 가스와 원유를 생산하는 95번째 산유국이 되었다. 이번 전문가가 우리나라의 석유 개발 이야기를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석유 개발 현황과 땅속의 석유를 어떻게 찾아 생산하는지 알아보자.

GS칼텍스 뉴스레터 7. [에너지 판도를 변화시킨 셰일가스에 대한 5가지 이야기]

GS칼텍스 뉴스레터 7. [에너지 판도를 변화시킨 셰일가스에 대한 5가지 이야기]

2019-11-28

NO.7 ㅣ 2019.11 Editor’s Note 에너지에 대한 인류의 도전과 탐구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원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돌과 나무로 사냥을 하던 시절, 인류가 처음 발견한 […]

[에너지학개론] 제21강. 우리나라에서 석유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 | 20191128 01 00

[에너지학개론] 제21강. 우리나라에서 석유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

2019-11-28

석유소비 세계 10위 안에 드는 우리나라 석유 수출입 규모 및 석유제품 소비 현황, 석유의 알뜰소비 문화 확산 등 우리나라 석유수급 전반에 대해 알아본다.

포장지 뜯는 팁, 햄버거 깔끔하게 먹는 법!

[생활 속 에너지] 포장지 뜯는 팁, 햄버거 깔끔하게 먹는 법!

2019-11-22

햄버거를 좀 더 깔끔하게 먹을 수 있는 방법, 햄버거 별로 포장지 뜯는 법 알아보기!

[생활 속 에너지] 어디선가 들어본 듯한 영화 용어들 정리

[생활 속 에너지] 어디선가 들어본 듯한 영화 용어들 정리

2019-11-13

1. 클리셰 클리셰는 진부한 표현이나 고정관념을 뜻하는 프랑스어입니다.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오랜 시간 반복되면서 사용된 뻔한 연출을 의미하는데요. 호러 영화에서 하지 말라는 일을 하거나 들어가지 말라는 곳에 들어가서 일어나는 사건도 […]

[생활 속 에너지] 안전을 위한 기본 상식, 소화기 사용법

[생활 속 에너지] 안전을 위한 기본 상식, 소화기 사용법

2019-11-09

소화기에 표시된 A, B, C가 뜻하는 것은? 발생한 화재는 종류에 따라 소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소화기도 사용 목적에 따라 종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것을 구분하는 것이 A, B, C 표기인데요. […]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