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O 2020 황산화물 규제 시행, 우리의 대응은?

IMO 2020 황산화물 규제 시행, 우리의 대응은?

2019-11-11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하여 그동안 친환경 자동차 보급, 도로 청소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배출원 관리제도가 시행되어 오고 있다. 그렇다면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 분야에서의 대기환경 규제는 어떠할까?

국제 석유시장에서 중국이 갖는 중장기적 영향력

국제 석유시장에서 중국이 갖는 중장기적 영향력

2019-10-04

최근의 석유수요 성장에 있어 중요한 축을 담당해 온 중국의 경제에 대한 불안 신호가 늘어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작년부터 상대방 수입 제품에 고율 관세를 주고받고 있으며 무역협상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장기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비록 6월 말 양국이 정상회담을 갖고 무역협상 재개에 합의하였으나, 시장에서는 양국의 입장 차가 여전한 만큼 무역협상이 합의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는 시각들이 존재한다. 이에 중국의 현재 경제 상황, 중국 석유시장 동향 그리고 향후 중국의 석유수요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며, 중국이 국제 석유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짚어보고자 한다.

에너지리포트- 석유화학 산업의 현재와 미래

[에너지리포트] 석유화학 산업의 현재와 미래

2019-09-27

2018년 8월, IEA(국제 에너지 기구)에서 국제 석유화학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다룬 The Future of Petrochemicals가 발간되었다. 본 콘텐츠는 해당 보고서를 대한석유협회에서 번역, 요약한 내용 중 일부이다. 석유화학 산업 및 정책적 제안에 대해 소개한다.

미국-이란의 대결과 2019년 중동 정세

미국-이란의 대결과 2019년 중동 정세

2019-08-15

미국 매파와 이란의 강경파 사이의 갈등이 강화되며 중동 내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미국과 이란의 대결 속 2019년의 중동 정세는 어떻게 흘러갈까요?

2019 BP 세계 에너지 통계 분석 (1), '에너지 먹는 하마 중국..?'

2019 BP 세계 에너지 통계 분석 (1), ‘에너지 먹는 하마 중국..?’

2019-07-24

세계 최대 글로벌 에너지 기업 BP(British Petroleum)는 매년 전 세계 에너지 관련 통계를 분석 발표하고 있다.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즉 ‘BP가 통계적 고찰로 바라본 세계 에너지 시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 중이다. 2018년의 리뷰가 담긴 올해 보고서는 68번째이며,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세계 최대 자원 부국 베네수엘라와 사우디의 명암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혁신하라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혁신하라

2019-06-28

디지털 혁신에 관련 용어가 자주 들리고 있습니다. 특히 이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과 연관 짓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중에서 자주 들리는 용어는 바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T)’입니다. 다만, 문제는 해당 용어의 의미가 모호하다는 점이지요. 이는 마치 몇 년 전에 4차 산업혁명 등장 때와 상황이 비슷합니다. 당시, 여러 ICT 전문가는 4차 산업혁명을 3차 산업혁명과 구분하기 위한 논의를 많이 진행했는데요. 스마트 시티 또한 유사한 상황을 경험했습니다. 이때도 스마트 시티를 *유비쿼터스 시티와 구분하기 위한 논쟁이 있었습니다. *유비쿼터스 시티(U-city, ubiquitous city) : 자유로운 네트워크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한 21세기 미래형 도시 어찌 보면, 이러한 현상은 신규 기술 관련 용어에서 나타나는 당연한 현상인지도 모릅니다. 신규 기술의 경우에는 사회에 퍼지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이는 ICT 전문가라도 신규 기술을 명확히 정의하기 어렵게 합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도 신규 기술 관련 용어입니다. 따라서 일반인이 이러한 기술 용어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본 글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주제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에너지리포트] 독일의 디젤차 vs 전기차 CO₂ 배출비교 | GSC IL MH report disel ev co2 comparison 201905 00 1

[에너지리포트] 독일의 디젤차 vs 전기차 CO₂ 배출비교

2019-05-27

IFO(독일경제연구소)에서 2019년 4월 발표한 'Kohlemotoren Windmotoren und Dieselmotoren : Was zeigt die CO2-bilanz'는 LCA(Life Cycle Assessment) 관점으로 디젤차, 전기차, 수소차의 CO2 배출량을 조사한 보고서이다. 본 콘텐츠는 대한석유협회가 IFO의 보고서를 번역, 요약하여 제공한 '독일의 디젤차, 전기차의 CO2 배출비교' 보고서 중 일부이다.

에너지리포트 IMO 2020 환경규제 시행에 따른 석유 시장 전망

[에너지리포트] IMO 2020 환경규제 시행에 따른 석유 시장 전망

2019-04-24

2020년 1월부터 시행되는 IMO 2020 환경규제는 모든 선박이 황함량이 0.5% 미만인 해양 연료를 사용해야함을 공표하고있다. 산성비를 유발하는 황산화물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해양연료 믹스에 큰 변화가 요구된다. 선박들은 스크러버나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장치를 달거나, 저유황유로 연료를 바꾸는 등 연료전환을 고려해야하는데, 이에 따라 석유 시장에는 어떤 전망이 예상될지 IEA 보고서를 살펴본다.

세계 초강대국 미국, 셰일원유 등에 업고 생산·수출도 세계 1위 | GSC MH IL column usa shaleoil export 2019 04 04 1

세계 초강대국 미국, 셰일원유 등에 업고 생산·수출도 세계 1위

2019-04-04

석유 주요 수출국으로 부상한 미국, 그 배경이 된 '셰일원유' 상관관계를 알아봅니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와 석유수급 위기 대응 | GSC IL MH iran hormuz strait blockade 2018 11 20181126 00 1

호르무즈 해협 봉쇄와 석유수급 위기 대응

2018-11-26

미국의 이란 제재 착수, 이란은 실제로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수 있을 것인가? 만약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었을 경우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과 우리는 어떤 태세를 갖추고 있을까?

상승세 점쳐졌던 내년 국제유가 안정세 예감, 그래도 변수는 많다 | GSC IL MH international oil prices eia 2018 11 20181119 00 ver.2 1

상승세 점쳐졌던 내년 국제유가 안정세 예감, 그래도 변수는 많다

2018-11-19

국제금융센터를 비롯해 일부 전문기관에서는 내년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위협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다른 전망은 오히려 내년 평균 유가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 등 보호무역 확산에 따른 한국 수출입 환경 변화 | GSC MH IL usa china trade war 20181113 00 1

미중 무역전쟁 등 보호무역 확산에 따른 한국 수출입 환경 변화

2018-11-14

미중 무역전쟁 등 미국발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한국의 수출입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유류세 15% 인하’ 정부 통 큰 결정, 이례적인 만큼 효과 극대화돼야 | GSC MH IL korea fuel tax cut 20181030 00 ver.2 1

‘유류세 15% 인하’ 정부 통 큰 결정, 이례적인 만큼 효과 극대화돼야

2018-10-30

최근 정부는 유류세를 15% 인하하는 ‘통 큰’ 결정을 내렸다. 유류세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세금 인하 방식과 효과 등을 알아본다.

북한에 혈맹국 지원 정제공장 있다! 원유 매장 가능성은 과연? | GSC MH IL north korea refinery 20181016 00 1

북한에 혈맹국 지원 정제공장 있다! 원유 매장 가능성은 과연?

2018-10-16

북한에도 원유를 정제해 휘발유를 생산하는 정제공장이 두 곳 있다. 막대한 광물 자원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석유 매장 가능성에 대해서도 꾸준히 언급되는데..

남한 석유 소비 1%로 1년 사는 북한, 휘발유 시장 경제도 존재 | GSC MH IL north korea oil market 20180913 00 1

남한 석유 소비 1%로 1년 사는 북한, 휘발유 시장 경제도 존재

2018-09-13

북한에서는 국제사회 경제 제재 여파로 원유 수입이 매우 제한적이고, 완제품 석유 상황은 더욱 열악합니다. 북한이 석유 없이도 견딜 수 있는 배경 그리고 석유의 가치를 들여다 봅니다.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