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더 맑고 깨끗한 지구를 위한 친환경 기술, ‘화이트 바이오’

더 맑고 깨끗한 지구를 위한 친환경 기술, ‘화이트 바이오’

GS칼텍스는 글로벌 뷰티 기업인 로레알과 화장품 원료 개발 및 공급에 대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바이오’로 하나 된 에너지 산업과 뷰티 산업의 협력! 특히, 2,3-부탄다이올은 화장품의 원료로, 3대 바이오산업 중 ‘화이트 바이오’ 산업의 대표 천연물질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2023 플라스틱 리터러시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2023 플라스틱 리터러시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GS칼텍스는 지난 2010년 친환경 복합수지를 생산하기 시작한 이래, 플라스틱의 물리적 재활용뿐만 아니라 화학적 재활용을 위한 기술혁신과 다양한 협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분리수거된 폐플라스틱을 물리적 재활용 과정을 거쳐 친환경 복합수지로 재탄생시키기고 있으며, 폐플라스틱을 통해 열분해유를 생산하여 자원순환형 플라스틱 원료로서 활용하는 화학적 재활용 사업을 추진해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장서고 있습니다.

‘색’다른 수소, 그리고 CCUS!

무색, 무취, 무미의 수소. 그런데 수소에 ‘색’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기후 위기로부터 지구를 구할 대안으로 떠오른 ‘블루수소’와 이를 생산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인 CCUS를 소개합니다.

플라스틱 순환경제를 완성할 화학적 재활용(CR) 기술!

인간의 삶에 편리함을 제공한 플라스틱! 발명된 이후, 우리는 많은 양의 플라스틱을 쓰고 버려왔습니다. 1950년대부터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OECD가 발표한 ‘세계 플라스틱 전망’에 따르면 2019년 전세계 플라스틱 사용량은 약 46,000만 톤에 달합니다. 플라스틱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폐기물도 늘어났는데요. 2019년에는 약 35,300만 톤의 폐기물이 발생했고, 그 중 단 6%(약 2,200만 톤) 정도만 재활용되었습니다. 국내 상황도 마찬가지입니다. 환경부는 ‘2020년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현황’에서 국내에 발생한 플라스틱 폐기물 약 1,098만 톤 중 70%가 재활용되었다고 발표했지만 환경 전문가들은 실제 재활용 비율을 10% 대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을 태워 ‘에너지 회수’하는 열적 재활용이 국내 재활용률에 포함되었지만, 엄격한 OECD 기준으로는 재활용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폐플라스틱 대부분이 소각되거나 매립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