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중립을 향한 GS칼텍스의 새로운 여정,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X)’

GS칼텍스 -

탄소 중립을 향한 GS칼텍스의 새로운 여정,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X)' | 20230327 02 00

‘환경’과 ‘성장’은 대립 관계일까? 보통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라고 하면 천문학적 비용과 시간이 수반되고, 평가 지표 또한 표준화되지 않아 리스크가 크다고 느껴진다. 하지만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를 외면한 기업의 성장은 결과적으로 자기 파멸적 발전일 뿐 성장이라고 할 수 없다. 지난 2015년 제70차 UN 총회에서 미래 후손의 발전 가능성을 보호하지 않은 경제 발전은 지양하자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글로벌 공동 추진 목표로 채택한 이유이기도 하다.

ESG 경영은 기업의 성장을 방해하는 걸림돌이 아니다. 오히려 지속가능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창출하며 또다른 방향으로의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이다. 글로벌 유수 기업들이 탄소 중립을 위해 풍력, 태양광, 수소에너지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를 개발하고 더 많은 투자와 연구를 진행하며 새로운 사업 영역을 창출해 나가는 것이 그 예다. 특히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 위기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이제 환경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 됐다.

이렇듯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산업 구조를 변화시키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바로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reen Transformation, GX)이다.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은 탄소저감, 에너지 효율화, 자원의 효율적 사용 등 기존에 없던 기술 개발과 도입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면서 동시에 산업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다.

GS칼텍스는 에너지·화학 선도 기업으로서 미래 환경변화와 에너지 전환에 대응하여 지속 성장하기 위한 근원적인 혁신, 딥 트랜스포메이션(Deep Transformation)을 실행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이슈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이에 대응하고자,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며 탄소 감축과 저탄소 신사업을 본격화하였다. GS칼텍스는 생산과 판매, 소비, 재활용하는 비즈니스 밸류체인 전 과정에서 순환경제의 가치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환경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주요 사업에서 온실가스 저감과 환경영향 최소화를 위한 활동을 넘어, 본격적인 친환경 신사업 발굴을 통해 자원효율화 및 탄소저감 순환경제 구현에 주도적인 역할 수행을 위해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GS칼텍스의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사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탄소 중립을 향한 GS칼텍스의 새로운 여정,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X)' | 20230327 02 01

1. 플라스틱 순환 경제 구축을 위한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MR/CR’

2022년 국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플라스틱 양은 20년 전보다 두 배 증가했지만 그 중 약 9%의 플라스틱만 재활용되고 있다. 나머지 91%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잘못된 분리수거 방법이나 미흡한 수거 설비 등의 이유로 소각되거나 매립돼 환경을 위협한다.

GS칼텍스는 이처럼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버려지는 플라스틱을 줄이고자, 지난 2010년부터 ‘MR(Mechanical Recycling, 물리적 재활용) 기술’을 활용해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구축하고 있다. MR이란 플라스틱 쓰레기를 선별, 분쇄, 세척해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원료로 되돌리는 재활용 기술로, 국내 정유사 중 GS칼텍스가 유일하게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친환경 복합수지를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인 물리적 재활용을 통해 생산된 제품들은 순도가 낮아 건설 자재 등에 사용되는데 비해 GS칼텍스 친환경 복합수지는 GS칼텍스만의 고도화된 재활용 기술을 통해 제품 색상, 강도, 폐플라스틱 비율 등을 고객사의 니즈에 맞추어 공급,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부품으로 활용되며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GS칼텍스 친환경 복합수지는 재활용 원료의 추적성·투명성을 증명하는 국제 인증(GRS : Global Recycled Standards) 획득하기도 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2021년부터는 ‘CR(Chemical Recycling,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활용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석유정제공정에 투입하는 실증사업을 시작했다. CR은 물리적으로 재활용하기 어려운 플라스틱 쓰레기를 화학적으로 분해해 석유화학의 원재료로 생산하는 재활용 기술이다. 열분해 방식을 이용한 화학적 재활용으로 열분해유를 생산하는데, 이 열분해유는 석유정제 공정에 투입하여 플라스틱의 원료인 납사를 추출할 수 있어 플라스틱 원료로 활용 가능하다.

GS칼텍스는 CR 기술을 통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여수공장 석유정제공정 및 석유화학공정에 원료로 투입하고, 이를 통해 열분해유 기반의 자원순환형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PP, Benzene 제품에 대해서 ISCC(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nd Carbon Certification) Plus 인증을 취득하기도 했다. ISCC인증은 EU 재생에너지 지침 기준에 따라, 제품 전 생산과정에서 재활용 재료, 바이오 유래 친환경 원료 사용 시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입증하는 국제인증 제도로 투명한 심사 기준과 까다로운 인증 절차로 인해 가장 신뢰도가 높은 친환경 인증이다. GS칼텍스는 이 실증사업 결과를 토대로 연간 5만 톤 규모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생산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며, 향후 연 100만 톤 규모의 확장을 목표로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렇듯 GS칼텍스는MR 및 CR 사업을 통해 폐기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특히, 협력사를 비롯해 공공·민간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플라스틱의 생산·소비·재활용이 반복되는 자원 순환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탄소 중립을 향한 GS칼텍스의 새로운 여정,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X)' | 20230327 02 02

2. 친환경 에너지 보급 및 온실가스 감축에 필수적인 ‘수소’, 그리고 ‘CCUS’

수소는 탄소 중립을 위한 필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산소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쉬우며, 이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에너지 효율도 높다. 지구의 70%를 차지하는 물을 전기분해해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도 무한한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수소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소에너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은 올해부터 수소 생산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하기로 했으며, 캐나다와 일본을 비롯한 주요국 역시 수소 생산 관련 보조금을 도입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또한 다양한 수소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GS칼텍스도 친환경 에너지 보급을 위한 수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GS칼텍스가 시행 중인 모빌리티용 액화수소 생산 및 공급, 연료전지 발전소 구축, CCUS 청정수소 클러스터 구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모빌리티용 액화수소 생산 및 공급
GS칼텍스는 2021년 한국가스공사와 액화수소 생산 및 공급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액화수소사업 밸류체인 구축을 위해 협업하고 있다. 평택LNG인수기지 내 승용차 약 8만대가 연간 사용 가능한 1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구축, 향후 수도권과 중부권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 플랜트는 세계 최초로 LNG 인수기지의 기화 공정에서 발생되어 버려지던 LNG 냉열을 에너지로 함께 활용해 친환경적이다. 또한 기체수소 충전에 비해 부피가 적어 운송 및 충전소 설치 시에도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2) 연료전지 사업
GS칼텍스는 한국동서발전, 여수시와 함께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여수산단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구축하고 있다. 발전소는 10MW(메가와트) 규모로, 약3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가 완공되면 GS칼텍스 여수공장에서 생산되는 부생수소를 공급받아 산소와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부산물로는 순수한 물만 생산되고, LNG를 원료로 하는 다른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와 달리 부생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인근에 있는 GS칼텍스 여수공장에서 파이프라인으로 부생수소를 공급받게 되어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는 발전기에 장착된 미세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초미세먼지까지 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CCUS 청정수소 클러스터 구축
GS칼텍스는 2022년 국내 각 분야의 대표 기업들과 CCUS 사업을 위한 기업 컨소시엄 협약을 체결하고 CCUS 사업 최적 모델 도출을 위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GS칼텍스는 여수공장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활용, 저장을 아우르는 CCUS 전체사업 영역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GS칼텍스 여수공장을 비롯한 여수산단 내 공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Capture)하여 화학적 전환을 통해 Olefin, Polyol, 비료 생산에 활용하거나, 광물학적 전환을 통해 광물 탄산화 등의 원료로 활용(Utilization) 하고, 나머지 이산화탄소는 액화 후 국내외 매립지로 운송하여 국내외 저장소에 매립하여 저장(Storage)한다.
탄소 중립을 향한 GS칼텍스의 새로운 여정,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X)' | 20230327 02 03

3.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 ‘바이오 사업’

바이오 연료 사업은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감축 수단이다. 탄소 감축 효과가 80%에 이르는 바이오 연료 사업은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저감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가 2022년 발표한 <탄소중립 시대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친환경 바이오연료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바이오 연료 시장은 2050년까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과 글로벌 기업들은 친환경 바이오 연료 시장 선점을 위해 이미 대규모 기술 개발 및 생산시설 구축 등에 적극 투자 중이다.

GS칼텍스는 글로벌 탄소 저감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향후 바이오항공유, 바이오해상유와 같은 차세대 바이오 연료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바이오 산업 진출을 위해, RSPO(지속가능한 팜유 생산을 위한 협의회) 같은 국제 친환경 인증을 받은 1세대 원료뿐만 아니라 2세대 원료인 UCO(Used Cooking Oil, 폐식용유), 동물성 유지 등의 재생원료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환경’과 ‘성장’은 대립되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개념이다. 이제 탄소중립은 녹색성장으로 전환하기 위한 새로운 경제질서로 자리잡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에너지 수급 불안정 상황에서 GS칼텍스는 주요 사업 전반에 걸쳐 온실가스를 저감하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신사업 발굴을 통해 탄소저감 순환경제를 실천하는 글로벌 No.1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글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