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식백과] 플라스틱계의 대표주자, 폴리에틸렌 | video energylife representative of plalstic birth story of polyethylene 202009 F

[에너지식백과] 플라스틱계의 대표주자, 폴리에틸렌

2020-09-18

타임스탬프 폴리에틸렌에 대해 더 궁금하다면?

[에너지식백과] 미스터리의 주인공에서 변신의 귀재가 되다, 벤젠 | video energylife main actor of mystery to disguise master benzene 202006 F

[에너지식백과] 미스터리의 주인공에서 변신의 귀재가 되다, 벤젠

2020-06-29

타임스탬프 벤젠에 대해 더 궁금하다면? 다른 에너지식백과 보러 가기!

[에너지학개론] 제 24강. 석유화학이란? 석유화학의 기본물질은? | 20200327 GSC IL MH study petrochemistry the element for petrochem 202003 0

[에너지학개론] 제 24강. 석유화학이란? 석유화학의 기본물질은?

2020-03-27

석유화학산업의 주 원료인 납사(Naphtha), 원유에서 나오는 납사와 납사 분해공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석유화학 제품에 대해 알아봅니다.

[에너지식백과] 당신이 몰랐던 석유화학의 역사와 제품들 | video petrochemical history and products 202002 F

[에너지식백과] 당신이 몰랐던 석유화학의 역사와 제품들

2020-02-13

GS칼텍스 여수공장에 직접 방문한 과학 커뮤니케이터, 과학 쿠키와 석유화학의 역사, 우리가 일상 속에서 접한 석유화학 제품들, 그리고 이 제품들의 원료를 얻는 공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실까요?

에너지학개론-제23강. 우리나라의 석유 비축 및 오일허브 사업 현황은?

[에너지학개론] 제23강. 우리나라의 석유 비축 및 오일허브 사업 현황은?

2020-01-17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석유수급의 차질에 대비하여 각국이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90일분의 석유를 비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석유공사가 석유비축사업을 관리하고 있는데, 2019년 9월말 기준으로 총 9개의 비축기지를 전국 각처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시설은 약 150백만 배럴 규모의 비축유를 저장할 수 있다

GS칼텍스 뉴스레터 8. [석유 찌꺼기의 새로운 변신, 지상유전이라 불리는 ‘고도화 공정’]

GS칼텍스 뉴스레터 8. [석유 찌꺼기의 새로운 변신, 지상유전이라 불리는 ‘고도화 공정’]

2019-12-28

NO.8 ㅣ 2019.12 Editor’s Note “알래스카에 냉장고를 판다?” 산유국에서 원유를 수입하고 그 산유국에 석유제품을 내다 파는 국내 정유사가 보여주는 ‘진귀한 광경’을 얼마 전 접한 한 신문 기사에서 이렇게 표현하더군요. 한국은 […]

에너지리포트- 석유화학 산업의 현재와 미래

[에너지리포트] 석유화학 산업의 현재와 미래

2019-09-27

2018년 8월, IEA(국제 에너지 기구)에서 국제 석유화학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다룬 The Future of Petrochemicals가 발간되었다. 본 콘텐츠는 해당 보고서를 대한석유협회에서 번역, 요약한 내용 중 일부이다. 석유화학 산업 및 정책적 제안에 대해 소개한다.

자동차도 이끄는 LPG의 숨겨진 정체, 부탄

부탄

2019-09-21

자동차도 이끄는 LPG의 숨겨진 정체

세상 모든 플라스틱의 대표,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2019-09-05

세상 모든 플라스틱의 대표

폴리프로필렌 | GSC MH energylife product polypropylene 20200103 0

폴리프로필렌

2019-09-04

자동차 부품에서 지폐까지

[에너지식백과] 매일 쓰고 있는 플라스틱의 원료, 올레핀 | 20190306 01 00 F

[에너지식백과] 매일 쓰고 있는 플라스틱의 원료, 올레핀

2019-03-05

플라스틱의 원료는 바로 '원유'에서 추출한 올레핀 이라는 물질입니다. 석유화학산업의 쌀이라고 불리우는 올레핀은 탄소(C)간 이중 결합 구조를 띠고 있는 화합물인데요. 올레핀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인 폴리에틸렌(PE)이 이미 전 세계에서 1년에 1억톤이 소비될 정도로 어마어마한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귀추가 주목되는 원료, 올레핀에 대해 영상으로 알아봅니다.

[에너지학개론] 제4강. 석유 산업은 어떤 구조로 되어 있을까?

[에너지학개론] 제4강. 석유 산업은 어떤 구조로 되어 있을까?

2018-08-14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되는 석유 산업의 구조와 각 부문 별 관련 산업에 대해 알아봅니다. 아울러 석유 산업의 구조를 통해 왜 사람들이 유가 변동에 귀추를 주목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학개론] 제3강. 정유업과 석유화학 산업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에너지학개론] 제3강. 정유업과 석유화학 산업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2018-07-27

정유 공정을 거쳐 생산된 정유업의 대표 제품인 석유와 그 석유를 활용해 만든 석유화학 제품 제품 및 석유화학 산업의 규모에 대해 알아봅니다.

[에너지학개론] 제2강. 석유의 형성

[에너지학개론] 제2강. 석유의 형성

2018-07-14

석유 형성에 관한 가설(유기 기원설, 무기 기원설, 자연발생설)을 비롯해 유전 성립 조건과 세계 원유 매장량에 대해 알아봅니다.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