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글로벌 新패러다임, 탄소중립 그리고 한계저감비용곡선(MACC)의 활용
2022-09-28
기업의 경제적인 탄소 감축 투자 의사 결정을 도와주는 효과적인 Tool, ‘한계저감비용곡선 (MACC)'이란?
[에너지식백과] 수소로 에너지를 만든다? 수소에너지의 가능성!
2022-09-28
미래 에너지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수소! 수소는 어떻게 에너지로 전환이 되고, 수소가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정폭력의 상처가 깊은 지민이의 마음톡톡 치유 이야기
2022-09-28
가정 폭력으로 인한 정서불안을 겪고 있는 지민이. 세상을 안전한 곳이라고 신뢰하지 못하는 지민이의 마음톡톡 치유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GS칼텍스 지속가능성보고서 살펴보기! 첫 번째, 환경(Environmental) 편
2022-09-28
[2021 지속가능성보고서]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대응, 환경 영향 저감에 대응하고 있는 GS칼텍스 친환경 경영을 소개합니다.
GS칼텍스 2022년 9월 뉴스브리핑
2022-09-27
[2022년 9월 GS칼텍스 소식] GS칼텍스 예울마루 개관 10주년 기념행사, GS칼텍스배 프로기전 시상식, 생산본부 소액기부의 날 ‘천원의 행복’
한눈에 보는 고유가 Q&A 시리즈
2022-09-27
국내 석유제품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는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과연 비싼지, 그리고 국가 경제에 정유사가 어떤 식으로 기여하는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여러분이 알고 싶었던 고유가 현상의 모든 것, 자세하게 답해드립니다
고유가 Q&A 시리즈 4. 정유사 실적과 국가 기여
2022-09-23
준비한 주제는 ‘정유사 실적과 국가 기여’입니다. 유가가 상승하면 정유사의 실적도 함께 호조를 보이는지, 그리고 우수한 석유 정제능력과 높은 품질을 갖추고 있는 국내 정유사들이 어떤 방식으로 국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지 하나씩 살펴봅니다.
고유가 Q&A 시리즈 3. 2022년 고유가 이슈
2022-09-21
올해 고유가 시대로 진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해외 국가에서 어떤 방식으로 횡재세를 부과하거나 논의 중인지에 대하여 고유가 Q&A 3편을 통해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이케아, 디지털로 다양한 가구를 체험하다!
2022-09-20
글로벌 홈 퍼니싱 기업 이케아에도 위기가 있었다? 디지털 전환으로 고객 경험 개선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이케아의 DX를 소개합니다
고유가 Q&A 시리즈 2. 석유제품의 가격 비대칭성
2022-09-19
석유제품 가격은 오를 때 왜 빨리 오르고 내릴 때 천천히 내리는 것처럼 느껴지는지, 그리고 유류세 인하 시 주유소 가격은 왜 천천히 떨어지는지! 평소 궁금해하셨던 국내 석유제품 가격의 특징과 그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고유가 Q&A 시리즈 1. 석유제품 가격 구조 및 적정성
2022-09-16
국내 석유제품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며,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과연 비싼지, 그리고 국가 경제에 정유사가 어떤 식으로 기여하는지등 석유제품 가격 구조 및 적정성을 소개합니다.
진정한 친환경 실천을 위한 친환경 인증 제도 알아보기!
2022-09-05
최근 자신의 가치관이나 신념을 소비를 통해 표현하는 ‘미닝 아웃(Meaning Out)’이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소비자들은 친환경 마크가 부착된 상품, 동물 테스트를 거치지 않는 비건 화장품, 사회적 약자를 고용하는 기업을 선호하며 자신의 신념을 가진 바른 소비를 지향하고 있는데요. 특히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지속 가능한 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 트렌드 보고서 에 의하면 소비자의 54%가 ‘친환경 제품 구매 시 10% 이내 추가 비용을 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는데요, 비슷한 제품인 경우 이왕이면 친환경적인 제품을 구매하겠다는 의미이죠. 또 다른 조사 에서는 MZ세대들은 71%가 가격과 조건이 같다면 친환경 활동 기업의 제품을 고르겠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40. [ESG 대전환에 대비하는 ‘그린 택소노미’와 GS칼텍스 지속가능성 살펴보기🔎]
2022-08-31
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극적인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기업의 친환경 활동을 판가름하기 위한 기준이자 에너지·환경 산업 투자의 바로미터로 주목받고 있는 ‘그린 택소노미‘를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