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페인

지구를 위한 한 그루, GS칼텍스 밀원수 재배 봉사활동
2025-06-19
제44회 GS칼텍스 매경오픈 골프대회와 함께한 탄소 저감 걸음 기부 캠페인이 목표 걸음 수 5천만 보를 달성하여, GS칼텍스는 약속했던 밀원수 묘목을 산불 피해 지역에 기부합니다. 밀원수는 벌꿀의 원천이 되는 나무이면서, 탄소 흡수량이 높아 기후 위기 대응에도 효과적인 수종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에 GS칼텍스가 기부하는 밀원수 묘목은 조직배양으로 생산되고 하이퍼트리(속성수, 우수품종) 방식으로 스마트팜에서 일정 기간 재배한 후, 최종적으로 산불피해지역 복구를 위해 사용될 예정입니다. GS칼텍스 임직원과 가족이 함께 참여한 밀원수 묘목 재배 봉사활동! 지금 바로 그 과정을 확인해 보세요.

깨끗한 바다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GS칼텍스 걸음기부x워킹데이🌊
2024-11-08
GS칼텍스는 지난 9월 23일부터 10월 21일까지 ‘No! 바다 쓰레기, YES! 클린바다’라는 슬로건 아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바다쓰레기 소탕 걸음 기부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2024 GS칼텍스 지구톡톡 캠페인 – 텀블러 백과 함께하는 지구를 위한 즐거운 실천
2024-09-26
우리 일상 속 이미 너무나 친근해져 버린 텀블러 하지만 텀블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계신가요?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2023년 11월 발표한 ‘재사용이 미래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국내 일회용 […]

GS칼텍스 구성원 가족과 함께한 GX Journey, <한평生 갯벌기부: 착한 알박기>
2024-05-27
‘소유’와 ‘실천’이 결합된 사회공헌 활동으로 주목받은 GS칼텍스의 <한평生 갯벌기부: 착한 알박기> 캠페인의 의미부터 현장의 모습까지 전해드립니다.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합니다” GS칼텍스가 삼일절을 대하는 방법
2024-03-12
GS칼텍스의 애국 발자취는, 독립운동가였던 고(故) 허만정 GS그룹 창업주의 올곧은 정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GS칼텍스 사내 채식 캠페인 후기] 한 끼만 채식으로 바꾸면, 지구도 나도 건강해져요! 12 [GS칼텍스 사내 채식 캠페인 후기] 한 끼만 채식으로 바꾸면, 지구도 나도 건강해져요! | gsc vegetarian campaign 2023 review 00](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3/12/gsc-vegetarian-campaign-2023-review_00.png)
[GS칼텍스 사내 채식 캠페인 후기] 한 끼만 채식으로 바꾸면, 지구도 나도 건강해져요!
2023-12-05
GS칼텍스는 약 6개월동안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지구를 살리는 채식한끼’ 사내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임직원 누구나 끼니 중 한끼를 채식으로 지키고 인증하면, 기부금을 모아 회사가 국내외 산림복원 활동에 기부한다는 취지로 기획됐는데요. 채식에 도전한 GS칼텍스 임직원들의 목소리, 함께 만나보세요!
![[플리를 알려줘 Track 9] 옷걸이, 올바르게 분리배출 하는 방법 A to Z! 16 plastic-literacy-hanger](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3/11/plastic-literacy-hanger_00.png)
[플리를 알려줘 Track 9] 옷걸이, 올바르게 분리배출 하는 방법 A to Z!
2023-11-03
버려진 플라스틱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플라스틱을 올바르게 분리배출하고 ‘잘’ 재활용하는 법을 알려주는 GS칼텍스 <플리를 알려줘>! 오늘은 마지막 시리즈로 ‘옷걸이’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용한 마스크, 안전하게 버리는 방법
2023-11-01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환절기에 접어들면서 독감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시즌마다 유행처럼 번지는 독감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특히, 밖에 나갈 때 마스크를 필수로 챙겨야 하는데요. […]
![[플리를 알려줘 Track 8] 휴대용 부탄가스 분리배출! 안전하게 하는 방법은? 23 [플리를 알려줘 Track 8] 휴대용 부탄가스 분리배출! 안전하게 하는 방법은?](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3/10/plastic-literacy-butane-gas-00.png)
[플리를 알려줘 Track 8] 휴대용 부탄가스 분리배출! 안전하게 하는 방법은?
2023-10-23
캠핑 등 야외활동에서 요긴하게 쓰이는 휴대용 부탄가스 분리배출 어떻게 해야 할까요? 부탄가스는 폭발 사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한 분리배출 방법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펭군과 함께 꼼꼼하게 알아볼까요?
![[플리를 알려줘 Track 7] 선스틱·선크림 용기 분리배출 올바르게 해보자! 25 [플리를 알려줘 Track 7] 선스틱·선크림 용기 분리배출 올바르게 해보자! | plastic literacy plastic sunscreen 00](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3/10/plastic-literacy-plastic-sunscreen_00.png)
[플리를 알려줘 Track 7] 선스틱·선크림 용기 분리배출 올바르게 해보자!
2023-10-17
버려진 플라스틱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플라스틱을 올바르게 분리배출하고 ‘잘’ 재활용하는 법을 알려주는 <플리를 알려줘>! 이번 시간에는 선스틱과 선크림 용기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플리를 알려줘 Track 6] 플라스틱 밀폐용기 분리배출 제대로 하는 방법은? 27 [플리를 알려줘 Track 6] 플라스틱 밀폐용기 제대로 분리배출 하는 방법은?](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3/10/plastic-literacy-plastic-container_00.png)
[플리를 알려줘 Track 6] 플라스틱 밀폐용기 분리배출 제대로 하는 방법은?
2023-10-11
플라스틱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요즘, 플라스틱을 올바르게 분리배출하고 잘 재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플리를 알려줘>! 이번 시간에는 플라스틱 밀폐용기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플리를 알려줘 Track 5] 올바른 '우산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자! 29 [플리를 알려줘 Track 5] 올바른 ‘우산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자!](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3/10/plastic-literacy-umbrella_00.png)
[플리를 알려줘 Track 5] 올바른 ‘우산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자!
2023-10-06
버려진 플라스틱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플라스틱을 올바르게 분리배출하고 ‘잘’ 재활용하는 법을 알려주는 <플리를 알려줘>! 이번 시간에는 장마철 자주 고장나는 우산 분리배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리를 알려줘 Track 4] 올바른 프라이팬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자! 31 [플리를 알려줘 Track 4] 올바른 프라이팬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자! | plastic literacy frying pan 00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3/10/plastic-literacy-frying-pan_00-1.png)
[플리를 알려줘 Track 4] 올바른 프라이팬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자!
2023-10-04
버려진 플라스틱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올바르게 분리배출하고 ‘잘’ 재활용하는 법을 알려주는 <플리를 알려줘>! 이번 시간에는 GS칼텍스와 함께 프라이팬 분리배출 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세요.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 2023 ver. 투명 페트병, 스티로폼, 의약품 분리배출 방법까지
2023-10-01
코로나19가 온 세상을 뒤덮은지 어느덧 3년이 돼 가고 있습니다. 줄어들 기미는 보이지 않고 오미크론 변이 발생 등 확진자 수는 급증하고 있어요. 감염 확산세가 정점을 찍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과 유럽은 코로나19 엔데믹(Endemic)으로 넘어갈 수 있다 전망하고 있습니다. 엔데믹이란 종식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을 말해요. 이러한 상황이 계속된다면, 우리의 변화된 생활 모습 또한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점차 대면하게 되는 상황이 줄어들고, 외출을 자제하게 된 우리 생활 속 모습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