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칼럼

미국과 사우디의 ‘유가’ 힘겨루기
2023-11-09
왜 사우디는 고집스럽게 석유 감산을 유지하는 것일까. 미국의 힘과 영향력을 감안하면 미국의 의사에 반하는 감산은 사우디에게도 부담이다. 무엇을 위해서일까?

탄소중립의 시대, 탄소저감을 위한 국내 정유산업의 미래 전략은?
2023-10-13
국내 정유산업은 화학제품과 정유제품 수출까지 포함하면, 반도체보다도 더 큰 수출 효자 산업이다. 이런 정유산업이 탄소중립이라는 글로벌 아젠다를 앞두고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사우디·러시아의 담합에 2023년 하반기 유가가 위험하다!
2023-10-11
국제유가를 결정짓는 변수가 비단 열 가지 백 가지 뿐이겠는가? 미국 원유 재고 수준이나 달러화 가치, 금리, 세계 최대 석유 소비국 중 하나인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석유 수요나 투자를 기반으로 유가를 […]

IEA, 중기(中期) 석유시장 전망 (OIL 2023)
2023-09-18
IEA가 발표한 석유시장 중기 전망을 살펴보고, 석유수요의 흐름과 석유공급 시장의 변화에 대해 살펴봅니다.

원유 빈국, 정제는 강국… 한국 재생발전 비중 낮지만 증가 속도는 빨라 – BP 통계로 보는 2022년 세계 에너지 경제
2023-09-13
전 세계적으로 전기에너지로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한국 재생발전 비중은 낮지만 증가 속도는 빠른 것으로 나타나 위안이 되고 있다.

전기차로 바뀌면 정말로 탄소배출량이 줄어들까?
2023-08-11
일상 생활과 수송부문에서 전기화는 에너지 전환기술의 중심이 되고,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열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화석연료가 많이 쓰이기 때문에 전기차가 온실가스 문제를 해결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산유국마다 다른 ‘균형재정유가’ 그리고 ‘탈석유 사우디’의 절박함
2023-08-04
산유국 정부의 재정이 적자가 되지 않는 수준의 원유 가격을 가리키는 "균형재정유가(Fiscal breakeven oil prices)"를 둘러싼, 산유국들마다의 입장과 엇갈리는 동상이몽을 들여다본다.

전기차 시장과 석유수요의 미래
2023-07-17
불확실성이 높아진 석유시장, 에너지 전환과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석유수요 증가 둔화 혹은 감소가 전망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의 현황과 석유 시장이 받게 될 영향을 알아본다.

석유개발과 저탄소 에너지 개발의 상관관계, 에너지 전환 속에서 석유기업의 역할
2023-06-26
전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기후 변화의 징후는 인류에게 경고의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이에 파리기후협약을 시작으로 각 산업 분야마다 탄소 저감과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석유와 석탄 기반의 […]

EU·미국 ‘탄소관세(炭素關稅)’ 부과 방침… 정유·석화, 선제적 대응 나서야
2023-06-10
최근에는 기후 대응 능력이 관세 기능과 유사한 무역장벽 역할로 주목받고 있다. EU가 도입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나 미국의 ‘청정경쟁법안(CCA : Clean Competition Act)’이 그렇다. 환경이 무역 장벽 역할을 하는 시대에서 탄소 저감은 생존의 필수 조건이 되고 있다.

OPEC+ 카르텔, 석유 시장 장악력을 확대하다
2023-05-12
OPEC+ 카르텔의 석유 시장 장악력이 강해지고 있다. 이들은 5월 이후 하루 116만 배럴을 감산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추가적인 감산’에 합의했다.

주요 중동 산유국을 둘러싼 국내외 정치 지형 변동 양상
2023-04-27
2022년 중동 주요 산유국이 밀집한 페르시아만 일대 국가들은 이란의 반 히잡 시위 사태 확산에 다시 한번 긴장하였다. 중동 주요 유전이 밀집한 페르시만 인접 걸프 왕정 국가들과 이란의 정세 불안은 국제석유시장을 […]

수소로 생산한 전기 사고 파는 입찰 시장 올해 문 연다
2023-04-25
정부가 수소발전을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에서 분리해 별도의 거래 시장을 구축하기로 했는데 세계 최초 사례로 꼽히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청정 수소 개발, 보급이 주목받고 있고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야기된 글로벌 에너지 […]

BP 에너지 아웃룩 2023의 에너지 시장 시나리오 분석
2023-03-29
글로벌 에너지기업 BP에서 발표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른 3가지 가정과 에너지 시장 예상 시나리오 분석 내용을 알아봅니다.

더 많이 수입해야 ‘무역수지’ 개선된다, 원유의 반전!
2023-03-20
에너지 수입 비중 92%. 우리나라 무역수지 악화 요인 중 하나인 에너지. 그런데 원유는 더 많이 수입할수록 무역수지를 개선한다고?